러에 발목잡힌 자력 위성 감시

러에 발목잡힌 자력 위성 감시

입력 2013-02-14 00:00
수정 2013-02-14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천후 영상레이더 탑재’ 아리랑 5호만 발사했어도…

한국이 북한 지역을 감시할 수 있는 다목적 실용위성을 두 대나 보유하고도 구름 등 기상조건 때문에 지난 12일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 사진을 확보하지 못한 가운데, 정부와 학계를 중심으로 러시아에 대한 불만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기상조건과 상관없이 전천후 촬영이 가능한 영상레이더(SAR)를 장착한 아리랑 5호를 제작하고도 러시아 측의 일방적인 발사 연기로 1년 6개월이나 활용하지 못하면서 북한의 3차 핵실험 상황을 자력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기때문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국형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와 마찬가지로 발사체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나라의 설움이라는 자조적인 목소리가 높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13일 “아리랑 5호가 일정대로 발사됐다면 북한 지역을 수시로 살피고, 핵실험 직후의 사진도 무난하게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위성을 만들고도 쏘지 못하는 현실이 갑갑할 뿐”이라고 밝혔다. 2480억원이 투자된 아리랑 5호는 국내 최초로 SAR를 탑재했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아리랑 2·3호가 광학카메라를 탑재해 기상상황이 좋지 않거나 야간에는 지상 촬영이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SAR은 이 같은 제약이 없다. 지상의 가로 세로 50c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이다. 아리랑 5호는 당초 2011년 4월에 개발이 완료됐고, 그해 8월말 발사 예정이었다. 하지만 300억원의 발사비를 받고 발사를 대행하는 러시아 측이 “앞선 발사일정이 밀렸다”는 이유로 2012년 하반기로 미뤘고, 지난해 “국방부의 승인이 필요하다”면서 또다시 올해 5월로 발사가 연기됐다.

문제는 계속된 연기가 러시아 측의 일방적인 통보로 결정된 데다, 우리 측은 정확한 발사 일정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발사 총괄 책임을 지고 있는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조차 “러시아 국방부 허가가 떨어져서 5월로 발사가 결정됐다는 소문은 들었다”면서 “러시아 대통령 탁자가 너무 커서 서류가 왔다 갔다 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들 하더라”고 말할 정도다. 우리 위성을 돈을 주고 쏘면서도, 최소한의 권리조차 갖지 못한 셈이다.

한국은 아리랑 6호 위성도 SAR 위성으로 제작해 아리랑 5호와 함께 운영, 한반도 감시체제를 완성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지만 이 계획이 언제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SAR 위성이 2대면 25시간마다 동일지점을 주야간 전천후로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위성은 제작되는 순간부터 배터리와 각종 부품 수명이 줄어들기 때문에 발사가 연기되면 연기될수록 위성의 운용 가능 기간은 짧아질 수밖에 없다. 한 위성 전문가는 “나로호 1단을 사실상 돈을 주고 사와서 논란이 된 것처럼 발사체 기술을 가진 쪽이 언제든 협상 주도권을 쥔 ‘갑’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우리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이 같은 문제에서 영원히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2-1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