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살 약해진다는 소·중조기에도 왜 입수 어렵나
세월호가 침몰한 전남 진도 인근 해역의 물길이 심상치 않다. 전장 146m, 선폭 22m, 높이 7.67m에 6825t짜리 대형 여객선 세월호가 수심 40m의 사고 해역에서 거대한 장애물로 작용해 조류 방향을 반대로 바꿔 놓거나 국지적인 소용돌이를 만들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세월호 침몰 사고 28일째인 13일, 실종자 구조·수색 작업은 썰물과 밀물의 차가 비교적 작은 중조기인데도 더디기만 했다. 일반적으로 소·중조기는 대조기에 비해 물살이 약해져 잠수하기 좋은 여건이 형성된다. 그러나 사고 해역에서는 오히려 지난 대조기(4월 29일~5월 2일) 때 입수 횟수가 이후 소·중조기보다 많았다. 민·관·군 합동 구조팀은 지난 10일 거센 물살 탓에 수색 작업을 중단한 채 3일을 흘려보냈다.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수산연구사는 “물살이 빠른 개울에 무겁고 큰 돌멩이가 갑자기 박히면 돌멩이 주변으로 물이 소용돌이치는 ‘와류’ 현상이 나타나는데 현재 사고 해역이 그런 상태”라며 “사고 해역은 잠수부들이 입수하는 위치가 10m만 달라져도 종잡을 수 없이 물살이 세진다”고 말했다.
사고 해역 수심이 비교적 얕은 만큼 해상의 기상 상황에도 밀접한 영향을 받는다. 사고 해역은 연일 풍랑주의보가 내려질 정도로 날씨가 좋지 않았다. 강한 비바람이 해수에도 영향을 미쳐 구조·수색 작업이 난항을 겪은 셈이다. 소조기 사고 해역의 유속은 초당 1m로 초당 2.8m인 대조기에 비해 느리지만, 인천 앞바다의 대조기 때 유속이 초당 1m에 못 미친다는 점을 감안하면 녹록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고명석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대변인은 “잠수요원 투입 시간대를 보면 알겠지만 사고 해역의 유속이나 조류 같은 것이 시시각각 변한다”면서 “하루 네 차례 있는 정조(바닷물의 흐름이 멈춘 상태) 시간 외에도 조류가 약해지면 잠수부들이 투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5-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