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대남비서직, 장관급보다 높은 자리로 인식”
남북 장관급회담 명칭을 ‘남북당국회담’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북측이 먼저 제의한 배경이 관심이다.남북당국회담은 과거 남북회담 명칭에 비춰볼 때 상당히 생경하고 막연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남북 당국간 회담 명칭은 1970년대 7·4 남북공동성명 이후 ‘남북조절위원회’를 시작으로 1980년대 말∼1990년대 초 ‘고위급회담’,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장관급 회담’ 등으로 변화해왔다.
전문가들 사이에는 남북회담의 북측 카운터파트로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부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북한이 회담 명칭을 애매모호한 ‘남북당국회담’으로 내세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우리 정부는 통일부장관의 카운터파트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을 염두에 뒀지만 당(黨) 국가 체제인 북한은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를 겸하는 통일전선부장직을 우리의 장관급보다 더 높은 자리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 때문에 2000년 이후 2007년까지 총 21차례에 걸친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도 우리는 통일부 장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한 데 비해 북측은 내각 책임참사가 나섰다.
내각 책임참사 자리는 일종의 무임소장관 격으로 장관급으로 볼 수는 있지만 그동안 장관급 회담에 나선 북측 전금진, 김령성, 권호웅 등 내각 책임참사는 장관급으로 보기에는 비중이 떨어진다는 것이 전문가들이나 우리 정부의 평가였다.
실제 통전부장이 남북 공식회담 수석대표로 나선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김양건 부장은 2007년 8월 당시 방북한 김만복 국가정보원장과 제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한 적은 있다.
따라서 이번 남북당국회담에 김 부장이 수석대표로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현재로서는 우세한 편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양건은 당 통일전선부장이자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대남비서”라면서 “대남비서는 북측 입장에서는 위상이 상당히 높고, 대남비서가 남북 회담에 수석대표로 나온 사례도 없다”고 말했다.
대북 전문가들은 김양건이 나오지 않을 경우 원동연 통일전선부 부부장, 맹경일·전종수·강지영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 부국장 등을 후보군으로 거론하고 있다. 이 경우 우리 정부가 통일장관을 그대로 수석대표로 내세울지도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