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조정상화 강온 절충…여진은 계속

민주, 국조정상화 강온 절충…여진은 계속

입력 2013-08-06 00:00
업데이트 2013-08-06 1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원 댓글의혹 국정조사 협상 전략을 두고 당내 강온파간 ‘내홍’을 겪어온 민주당이 6일 절충안을 통해 가까스로 출구를 찾았다.

일단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의 증인 채택 및 증언 보장, 기간 연장을 얻어내는 선에서 국조를 정상화하되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추가 증인채택을 계속 요구하기로 한 것이다.

국조 정상화에 방점을 둔 원내 지도부 등 온건파와 “’김무성-권영세’ 없는 국조는 의미가 없다”는 국조특위 등 강경파 주장 사이에서 진통 끝에 절충점을 찾은 셈이다.

당 지도부는 전날 열린 4시간여 동안의 마라톤 의원총회와 이날 새벽 소집한 지도부-특위 연석회의의 논의를 거쳐 이처럼 가닥을 잡았다.

민주당이 국조 판을 깼다는 빌미를 주지 않으면서도 ‘김무성-권영세’ 증인채택 요구를 내세워 장외투쟁의 동력을 살려가야 한다는 점을 관철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원세훈-김용판’의 국회 출석이 무위로 돌아가거나 ‘김무성-권영세’ 증인채택이 끝내 불발될 경우 더이상 국조는 무의미하다는 판단에 따라 당 차원의 ‘비상한 결단’, 즉 전면적 장외투쟁 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원세훈-김용판’의 출석 여부가 가름나는 청문회(13∼14일께), ‘김무성-권영세’ 증인채택 마지노선인 14∼15일께가 각각 비상결단의 1,2차 ‘D데이’”라며 “그 이후 국조 파탄의 모든 책임은 청와대와 여당이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여야간에 합의문이 작성되면 (합의문에) 민주당의 의지를 표명할 것”이라면서 “’원세훈·김용판’이 안 나오면 우리는 더 이상 국조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강온파간 정면충돌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하면서 내분 봉합에 나섬으로써 국정원 국조 및 대화록 국면에서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강경파에 휘둘려 왔다는 비판을 딛고 당내 리더십을 세우는 계기로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지역위원장 연석회의, 상임고문단 회의 등을 잇따라 개최하며 당내 여론을 최대한 수렴하는 모양새를 갖추는데도 공을 들였다. 연석회의에서는 “국조를 통한 진상규명 위해 끝까지 인내하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 특위 위원 등 강경파의 반발이 완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어 ‘자중지란’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는 흐름이다.

특위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이날 새벽 ‘김무성-권영세’의 즉각적 증인채택 불발 등에 대한 항의 표시로 당 지도부에 간사직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단 이를 반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