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수 청와대 외교안보실장은 7일 “북한이 개성공단과 북한에 주재하고 있는 외교 공관 등에 대해 10일까지 (철수) 방안을 내놓으라고 한 것은 사전에 계산된 행태로 보인다”며 “그 시기를 전후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과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상황평가회의에서 이같이 말한 뒤 “현재 전면전의 징후는 보이지 않지만 혹시 국지전이 발발하면 북한은 그 몇 배의 피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보 당국도 김일성 생일(4월 15일)을 전후한 시점에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을 주시해 왔다.
김 실장은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오리가 물위를 평화롭게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지만 물에서는 쉬지 않고 부지런히 발을 움직인다”며 “마찬가지로 청와대는 컨트롤타워로서 외교안보 부처와 함께 유기적으로 쉬지 않고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와대가 차분하다는 것은 아주 단호하고 냉철하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박근혜정부의 대북 정책이 전임 이명박(MB) 정부와 닮은 듯하면서도 다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의 변화를 전제로 대북 지원에 나서겠다는 것과 대북 정책에 보수색이 강하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청와대 지하벙커(국가위기관리상황실)로 상징되는 MB 정부의 ‘보여주기식 안보’와는 다르다는 분석이다.
박근혜정부에서는 안보 위기가 한 달 이상 고조되고 있지만 지나치게 차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MB 정부는 대북 리스크가 발생할 때마다 지하벙커에서 비상 회의를 열어 여야가 ‘전시행정’이 아니냐고 지적했을 정도다.
전임 정부에서는 안보 관련 부처들이 청와대만 쳐다본 것과 달리 박근혜정부에서는 부처가 주도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도 다르다. 박근혜정부의 청와대는 ‘원 보이스’(하나의 목소리)를 강조하고 있다. 청와대 측은 “개성공단과 관련해서는 통일부, 외교공관 철수 등과 관련해서는 외교부의 브리핑을 참고해 달라. 청와대발(發)은 빼달라”고 수시로 말한다.
또 일관된 대북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하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북한이 변화를 추구하지 않는 이상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북 특사론’은 없다는 것이다. 김 실장은 “북한은 매일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할 수 있는 내용을 터뜨리는 ‘헤드라인 전략’을 쓰고 있다”며 “미국의 특사, 중국·러시아의 중재, 한국의 대화 제의 등을 유도해 상황 반전을 꾀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그는 손자병법의 ‘무약이청화자 모야’(無約而請和者 謨也·약속이 없는데 청하는 것은 모략이 있는 것)라는 말을 인용, “대화를 두려워하지 않지만 급하다고 해서, 위기라고 해서 섣부른 대화를 시도하지는 않는다”며 “대화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북한이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외교안보장관회의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김관진 국방부 장관, 류길재 통일부 장관, 남재준 국정원장, 허테열 비서실장,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등이 참석했으며 외교부 장관은 방미로 장관대리가 참석했다.
김 실장은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오리가 물위를 평화롭게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지만 물에서는 쉬지 않고 부지런히 발을 움직인다”며 “마찬가지로 청와대는 컨트롤타워로서 외교안보 부처와 함께 유기적으로 쉬지 않고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와대가 차분하다는 것은 아주 단호하고 냉철하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박근혜정부의 대북 정책이 전임 이명박(MB) 정부와 닮은 듯하면서도 다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의 변화를 전제로 대북 지원에 나서겠다는 것과 대북 정책에 보수색이 강하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청와대 지하벙커(국가위기관리상황실)로 상징되는 MB 정부의 ‘보여주기식 안보’와는 다르다는 분석이다.
박근혜정부에서는 안보 위기가 한 달 이상 고조되고 있지만 지나치게 차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MB 정부는 대북 리스크가 발생할 때마다 지하벙커에서 비상 회의를 열어 여야가 ‘전시행정’이 아니냐고 지적했을 정도다.
전임 정부에서는 안보 관련 부처들이 청와대만 쳐다본 것과 달리 박근혜정부에서는 부처가 주도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도 다르다. 박근혜정부의 청와대는 ‘원 보이스’(하나의 목소리)를 강조하고 있다. 청와대 측은 “개성공단과 관련해서는 통일부, 외교공관 철수 등과 관련해서는 외교부의 브리핑을 참고해 달라. 청와대발(發)은 빼달라”고 수시로 말한다.
또 일관된 대북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하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북한이 변화를 추구하지 않는 이상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북 특사론’은 없다는 것이다. 김 실장은 “북한은 매일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할 수 있는 내용을 터뜨리는 ‘헤드라인 전략’을 쓰고 있다”며 “미국의 특사, 중국·러시아의 중재, 한국의 대화 제의 등을 유도해 상황 반전을 꾀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그는 손자병법의 ‘무약이청화자 모야’(無約而請和者 謨也·약속이 없는데 청하는 것은 모략이 있는 것)라는 말을 인용, “대화를 두려워하지 않지만 급하다고 해서, 위기라고 해서 섣부른 대화를 시도하지는 않는다”며 “대화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북한이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