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배 국정편찬위원장은 국정 역사 교과서인 ‘올바른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이 공개된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지금 온 국민이 역사전쟁을 치르는 상황”이라고 했다. 박정희 유신정부 체제에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했던 그가 지금 단일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역설적 상황에 대해 김 위원장은 “그때는 개인이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면서 “자유민주주의는 정착됐지만 편향성 문제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젠 공과를 같이 쓰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현대사 연구 일천… 분야별 전문가 취합
→현대사 집필진 중 역사를 학부 때부터 쭉 전공하신 분이 없던데, 학계의 의견을 균형 있게 서술했다고 할 수 있나.
-한국 현대사는 연구 역사가 매우 일천하다. 주로 독립운동사를 연구하셨던 분이 현대사와 연계해서 한 경우가 간혹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현대사는 그렇게 해선 되지 않는다. 대한민국이 수립이 되는 근본이 무엇인가. 헌법이 있어야 한다. 모든 것은 법에 의해서 국가가 운영된다. 정치사와 경제사에도 훌륭한 학자가 있다. 참담한 전쟁을 겪으면서 군사학을 하는 전문가가 있다. 북한은 전문가가 있다. 이 모두를 아우르는 분야별 분야사로 현대사를 구성하고 이 모든 것은 편찬위원회와 여타 기관에서 검증했다.
→현대사 전공자가 많지 않은 게 아니라 공개적으로 반대해 참여하지 않은 것 아닌가.
-한국현대사는 역사학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한국현대사는 모든 것을 소화할 수 있는 분이 현대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헌법을 어느 현대사 학자가 쓸 수 있나. 또 우리나라 경제 성장발전 과정과 6·25전쟁 전 과정은. 분류사적 입장에서 현대사 집필진을 채택한 것이다. (현대사에서는) 이념 편향이 문제되는데, 집필진을 보면 알겠지만 양 극단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자유민주주의 시대엔 편향성이 문제
→단 한 권의 역사 교과서와 여러 가지 교과서, 둘 중 무엇이 헌법적 가치에 맞는다고 생각하나.
-유신체제 아래 고려대 교수로 있을 때는 국정화에 반대하더니 이제는 관심을 두느냐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그때는 자유민주주의가 지금처럼 활발하지 않아서 개인이 자유롭게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자유민주주의가 꽃피어서 더 좋은 교과서가 나오리라고 생각했는데 거꾸로 다른 쪽(편향성 문제)으로 갔다. 이건 내가 주장한 자유민주주의 사상이 아니다. 자라나는 후손, 아들, 손주들에게 밝은 역사책을 줘야 한다고 본다. 공과를 같이 쓰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온 국민이 역사전쟁을 치르고 있다. 시안(현장검토본)이 완성본이 아니다. 의견 받아서 합당한 건 우리가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국민의 역사책으로 만들겠다.
●온 국민이 역사 전쟁 중… 의견 들을 것
→의견을 받겠다고 했는데 의견도 역시 비공개다.
-제가 할 답은 아니고. 아마도 또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공개 안 하는 게 아닌가 한다.
→현장검토본 이후에 폐기(국정화 철회)도 검토할 수 있나.
-제 소관이 아니기 때문에 대답하기 곤란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현대사 연구 일천… 분야별 전문가 취합
→현대사 집필진 중 역사를 학부 때부터 쭉 전공하신 분이 없던데, 학계의 의견을 균형 있게 서술했다고 할 수 있나.
-한국 현대사는 연구 역사가 매우 일천하다. 주로 독립운동사를 연구하셨던 분이 현대사와 연계해서 한 경우가 간혹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현대사는 그렇게 해선 되지 않는다. 대한민국이 수립이 되는 근본이 무엇인가. 헌법이 있어야 한다. 모든 것은 법에 의해서 국가가 운영된다. 정치사와 경제사에도 훌륭한 학자가 있다. 참담한 전쟁을 겪으면서 군사학을 하는 전문가가 있다. 북한은 전문가가 있다. 이 모두를 아우르는 분야별 분야사로 현대사를 구성하고 이 모든 것은 편찬위원회와 여타 기관에서 검증했다.
→현대사 전공자가 많지 않은 게 아니라 공개적으로 반대해 참여하지 않은 것 아닌가.
-한국현대사는 역사학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한국현대사는 모든 것을 소화할 수 있는 분이 현대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헌법을 어느 현대사 학자가 쓸 수 있나. 또 우리나라 경제 성장발전 과정과 6·25전쟁 전 과정은. 분류사적 입장에서 현대사 집필진을 채택한 것이다. (현대사에서는) 이념 편향이 문제되는데, 집필진을 보면 알겠지만 양 극단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자유민주주의 시대엔 편향성이 문제
→단 한 권의 역사 교과서와 여러 가지 교과서, 둘 중 무엇이 헌법적 가치에 맞는다고 생각하나.
-유신체제 아래 고려대 교수로 있을 때는 국정화에 반대하더니 이제는 관심을 두느냐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그때는 자유민주주의가 지금처럼 활발하지 않아서 개인이 자유롭게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자유민주주의가 꽃피어서 더 좋은 교과서가 나오리라고 생각했는데 거꾸로 다른 쪽(편향성 문제)으로 갔다. 이건 내가 주장한 자유민주주의 사상이 아니다. 자라나는 후손, 아들, 손주들에게 밝은 역사책을 줘야 한다고 본다. 공과를 같이 쓰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온 국민이 역사전쟁을 치르고 있다. 시안(현장검토본)이 완성본이 아니다. 의견 받아서 합당한 건 우리가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국민의 역사책으로 만들겠다.
●온 국민이 역사 전쟁 중… 의견 들을 것
→의견을 받겠다고 했는데 의견도 역시 비공개다.
-제가 할 답은 아니고. 아마도 또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공개 안 하는 게 아닌가 한다.
→현장검토본 이후에 폐기(국정화 철회)도 검토할 수 있나.
-제 소관이 아니기 때문에 대답하기 곤란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11-29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