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때문에 우리 애가 공부를 너무 안 할 거 같아 고민이에요. 그래서 이번 여름방학에는 (공부를) 바짝 좀 시킬까 생각하고 있어요.”
얼마 전 지인과의 점심 자리. 함께한 이가 푸념을 늘어놓습니다. 중 1학년 자녀를 둔 그는 자유학기제 때문에 자녀가 공부를 등한시할까 봐 고민이라고 했습니다.
자유학기제는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지필고사에 대한 부담 없이 체험활동에 집중하도록 하는 교육제도입니다. 몇 년 동안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전면 시행되는데, 전국 중학교의 98%가 1학년 2학기에 이 제도를 시행합니다. 학생들은 오전에는 학교에서 교과 공부를 하고, 오후에는 ‘비(非)교과’ 활동을 합니다.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같은 활동인데 비교과 활동이 한 학기에 모두 170시간에 이릅니다.
불만이 터져 나오는 학부모가 있을 겁니다. ‘국영수 공부 시간도 모자라는데 한가하게 체험학습이라니’라는 생각으로요. 사교육 업체들이 이를 가만둘 리 없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방학을 맞아 고액의 캠프 광고가 기승을 부립니다. 서울 강동구의 한 학원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국어, 영어, 수학, 과학 등을 스파르타식으로 가르치는 한 달짜리 여름방학 캠프를 열면서 참가비를 무려 235만원이나 받아 논란이 됐습니다. 급기야 교육부가 대학들에 ‘캠퍼스를 빌려주지 마라’는 공문까지 보내기도 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일부 학부모에게 자유학기제는 애물단지일 수 있습니다. 교과 공부가 뒤처지면 성적이 나빠지고, 대입에서도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는 학부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입시의 흐름을 아는 이들은 자유학기제가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라 합니다. 최근 비교과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는 대입 경향을 고려할 때, 자유학기제가 대입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대학들은 최근 비교과 대표 전형인 학생부 종합전형을 경쟁하듯 늘리고 있습니다. 지난해는 전체 선발인원의 18.5%였지만, 올해는 20.3%, 내년에는 23.6%로 비중을 키웁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이 폭을 넓히면서 다른 대학들도 이를 쫓아가고 있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학생부와 함께 고교 시절 비교과 활동을 어떻게 했는지를 주로 따집니다. 뚜렷하게 드러나는 학생의 특기와 적성, 그와 관련해 비교과 활동을 했는지를 한결같이 보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입시전문가들이 자기소개서를 쓸 때 조언하는 ‘일관된 스토리’ 안에서 비교과 활동을 돋보이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학생들 가운데 일부는 이를 노려 고교시절 억지로 비교과 활동을 하곤 합니다. 오로지 대입을 위해 좋아하지도 않는 비교과 활동을 하고, 그 활동마저 중구난방인 사례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활동은 한계가 분명합니다. 게다가 대학에서도 최근엔 이런 활동은 걸러내고 있습니다.
대학 입학을 일종의 경주라고 봤을 때, 자유학기제는 그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학교 때부터 비교과 활동을 풍부하게 경험하고, 이 가운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내 고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즐기면서 활동한다면 계속 늘어나는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도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습니다.
마침 방학입니다. 성급하게 자녀를 학원으로 내몰기 전, 자녀가 무엇을 정말로 좋아하는지 함께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gjkim@seoul.co.kr
얼마 전 지인과의 점심 자리. 함께한 이가 푸념을 늘어놓습니다. 중 1학년 자녀를 둔 그는 자유학기제 때문에 자녀가 공부를 등한시할까 봐 고민이라고 했습니다.
자유학기제는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지필고사에 대한 부담 없이 체험활동에 집중하도록 하는 교육제도입니다. 몇 년 동안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전면 시행되는데, 전국 중학교의 98%가 1학년 2학기에 이 제도를 시행합니다. 학생들은 오전에는 학교에서 교과 공부를 하고, 오후에는 ‘비(非)교과’ 활동을 합니다.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같은 활동인데 비교과 활동이 한 학기에 모두 170시간에 이릅니다.
불만이 터져 나오는 학부모가 있을 겁니다. ‘국영수 공부 시간도 모자라는데 한가하게 체험학습이라니’라는 생각으로요. 사교육 업체들이 이를 가만둘 리 없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방학을 맞아 고액의 캠프 광고가 기승을 부립니다. 서울 강동구의 한 학원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국어, 영어, 수학, 과학 등을 스파르타식으로 가르치는 한 달짜리 여름방학 캠프를 열면서 참가비를 무려 235만원이나 받아 논란이 됐습니다. 급기야 교육부가 대학들에 ‘캠퍼스를 빌려주지 마라’는 공문까지 보내기도 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일부 학부모에게 자유학기제는 애물단지일 수 있습니다. 교과 공부가 뒤처지면 성적이 나빠지고, 대입에서도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는 학부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입시의 흐름을 아는 이들은 자유학기제가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라 합니다. 최근 비교과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는 대입 경향을 고려할 때, 자유학기제가 대입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대학들은 최근 비교과 대표 전형인 학생부 종합전형을 경쟁하듯 늘리고 있습니다. 지난해는 전체 선발인원의 18.5%였지만, 올해는 20.3%, 내년에는 23.6%로 비중을 키웁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이 폭을 넓히면서 다른 대학들도 이를 쫓아가고 있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학생부와 함께 고교 시절 비교과 활동을 어떻게 했는지를 주로 따집니다. 뚜렷하게 드러나는 학생의 특기와 적성, 그와 관련해 비교과 활동을 했는지를 한결같이 보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입시전문가들이 자기소개서를 쓸 때 조언하는 ‘일관된 스토리’ 안에서 비교과 활동을 돋보이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학생들 가운데 일부는 이를 노려 고교시절 억지로 비교과 활동을 하곤 합니다. 오로지 대입을 위해 좋아하지도 않는 비교과 활동을 하고, 그 활동마저 중구난방인 사례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활동은 한계가 분명합니다. 게다가 대학에서도 최근엔 이런 활동은 걸러내고 있습니다.
대학 입학을 일종의 경주라고 봤을 때, 자유학기제는 그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학교 때부터 비교과 활동을 풍부하게 경험하고, 이 가운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내 고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즐기면서 활동한다면 계속 늘어나는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도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습니다.
마침 방학입니다. 성급하게 자녀를 학원으로 내몰기 전, 자녀가 무엇을 정말로 좋아하는지 함께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gjkim@seoul.co.kr
2016-07-22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