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맞댄 연세·고려대 등 10개 사립대 총장… ‘미래대학포럼’ 출범
“인공지능이 인간을 따라잡는 시점을 2045년이라고 예측했지만,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경기 이후 2020년으로 당겨졌다. 지금의 대학이 지금 이대로 학생들을 길러 인공지능과 겨룰 수 있겠는가.”13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학술정보관에서 열린 ‘미래대학포럼’ 공개 토론회에 참여한 대학 총장들이 ‘문명사적 기로에 선 대학’을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경희 이화여대 총장, 염재호 고려대 총장, 김용학 연세대 총장, 이영무 한양대 총장.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13일 발족한 ‘미래대학포럼’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학술정보관에서 첫 공개 포럼을 열고 대학의 위기감을 쏟아냈다. 미래대학포럼은 서울 주요 10개 사립대 총장들이 모여 미래 사회에 대학의 역할을 고민하기 위해 구성했다. 첫 공개 포럼에는 경희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숙명여대·연세대·이화여대·중앙대·한국외대·한양대 총장들이 모였다. 대학의 위기 상황에서 행로를 모색하고자 포럼에 참석한 총장들은 다양한 해결책을 내놓았다.
‘문명사적 기로에 선 대학’이라는 주제로 기조발제한 김 총장은 대학의 현재 위기에 대해 재정, 기술의 와해, 정당성을 열쇠어로 들었다. 새로운 지식을 얻으려면 비용이 증가하는 데다가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역할에 대한 문제가 거론되는 시점에서 대학 무용론도 확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총장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액티브 러닝’을 들었다. 대학이 학생에게 단순한 지식을 가르치기보다 학생이 주변 문제에 관심을 두고 해결하려는 것을 돕는 방법을 의미한다. 김 총장은 “연세대 인천의 송도캠퍼스에는 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산지식을 배울 수 있다”며 “연세대의 경우 학부생들이 팀을 꾸려 이런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면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최 총장은 “20년 전과 지금의 학생이 처한 환경이 너무 다르다. 대학은 학생들이 스스로 미래를 대비하도록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도전학기제와 자유설계 전공을 예로 들었다. 도전학기제는 한 학기를 쉬며 사회경험을 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학기다. 학생들은 사이버 강의 등으로 부족한 공부를 한다. 자유설계 전공은 전공에 얽매이지 않고 학생 스스로 배울 것을 조합해 만드는 전공을 가리킨다. 이영무 한양대 총장은 창업을 돌파구로 제안했다. 이 총장은 “지금의 일률적인 전공체제가 불확실성이 강한 미래 사회에 답을 제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4차 산업 혁명 사회에서는 대학생들이 창업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총장들은 이런 발전을 위해 교육부의 입시, 등록금 등에 대한 규제도 풀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기풍 서강대 총장은 “등록금이 동결된 상황에서 교육부가 원하는 유럽형 소형대학은 천문학적인 재원이 요구된다”며 “등록금 규제에 대해 앞으로 진지한 이야기가 필요하다”고 했다. 최 총장은 “교육부가 믿을 만한 대학에 대해서는 창립이념에 따라 자유롭게 뽑을 수 있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 좌장을 맡은 염재호 고려대 총장은 “미래대학포럼은 앞으로 비정기적으로 세부 주제를 정해 사회 변화와 대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이어 가겠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6-14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