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아직 발견되지 않은 잠재적 피해자를 찾아내는 게 가장 큰 숙제입니다.”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최 소장은 “초반에 대응하지 못해 피해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아직까지 원인도 모른 채 고통받고 있을 피해자를 찾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가습기 살균제에 고농도로 노출된 사람이 적게는 30만명, 많게는 2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살균제가 판매된 1994년 이후 유사한 증세로 병원에 입원했거나 사망한 환자들을 추적해야 합니다. 국민 전수조사라도 해야죠.”
최 소장은 지난 26일 옥시 측이 제안한 위자료에 대해 “가해기업의 제안이 아니라 법률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이 피해 보상 금액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며 “별도로 피해보상 기금을 마련해 후유증같이 차후에 발견될 피해를 상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무리 국면에 접어든 검찰 수사에 대해서는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최 소장은 “옥시가 교수들에게 의뢰해 보고서를 조작한 것은 검찰이 아니면 밝혀낼 수 없었고 검찰 수사 덕에 여론의 조명을 받을 수 있었다”면서도 “사망자가 발생한 12개 제품의 제조판매회사 등기임원만 해도 250명 정도인데, 단 10명만 구속한 것은 명백한 한계”라고 말했다.
최 소장은 정부가 가습기 살균제를 산모·영유아의 사망 원인으로 지목했던 2011년 8월 31일부터 이 문제를 추적해 왔다. “건강을 위해 자신이 틀어준 가습기에 사랑하는 가족이 죽었습니다. 직장을 때려치우고 죽은 아내와 아이의 위패를 모신 암자를 2년간 꼬박 지키는 마음이 상상이나 되시나요. 아직 포기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6-06-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