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박근혜 대통령은 6일 기자회견에서 ‘진정한 소통’을 화두로 던졌다.‘불통’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자 “소통과 관련해 많은 얘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우리 모두가 소통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런데 진정한 소통이 무엇인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운을 뗐다.
박 대통령은 “단순한 기계적 만남이나, 국민의 이익에 반하는 주장이라도 적당히 수용·타협하는 것은 소통이 아니다”라면서 “과거에 불법으로 떼쓰면 적당히 받아들이곤 했는데 이런 비정상적인 관행에 대해 원칙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두고 ‘소통이 안 돼서 그렇다’고 말하는 건 잘못”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진정한 소통을 위한 전제조건은 모두가 법을 지키고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법이 공정하게 적용되고 집행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며 ‘소통론’을 폈다.
이어 박 대통령은 “부족한 점은 있지만 그동안 국민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해 왔다”고 해명했다. 틈나는 대로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했으며 전국 각계각층의 국민들과 만나고 목소리를 들었다는 얘기다. 15년 전 사망한 딸의 사인을 규명해 달라는 부친의 민원을 15년 만에 해결한 것도 민원을 중시한 결과였다는 사례도 들었다.
그러면서 특정한 방식의 소통에는 거부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정부가 철도 민영화가 아니라고 누차 말해도 들으려 하지 않고 불법 파업을 이어갔는데 이런 상황에서 직접 만나는 방식의 소통이 가능할 것인가 생각해 봤다”면서 “제가 어떤 분들도 못 만날 이유가 없고 앞으로 소통에 더욱 힘쓰겠지만 불법 파업 등은 법과 원칙에 의거해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소통에 대해 이처럼 자세하게 공개적으로 얘기한 것은 처음이지만,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대통령에게 진정한 소통 의지가 있는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공격했다. 문재인 민주당 의원은 “국민적 갈등이 많이 남는 회견이었다”고 말했다고 문 의원의 대변인 격인 윤호중 의원이 전했다. 윤 의원은 “불통의 책임을 국민에게 돌리고 정작 국민이 듣고 싶고 원하는 말은 한마디도 안 한 채 모두 건너뛴 회견이었다”고 주장했다.
박 대통령은 역사 교과서 문제와 관련, “사실에 근거한 균형 잡힌 교과서로 배워야 하고, 이념적 편향도 있어선 안 된다”면서 “일부 교과서에 불법 방북 처벌을 탄압으로 표현하고, 독일 통일을 부정적 측면만 부각시킨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01-0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