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이례적으로 성명을 내고 ‘사상 최고의 초강경 대응조치’를 발표한 데 이어 리용호 외무상이 ‘태평양상 역대급 수소탄 시험’을 언급하면서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6차 핵실험 이후 도발 카드로 염두에 둔 방안 중 하나를 내보인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22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 시험을 해야 되기 때문에 ICBM을 정상 각도에서 쏘는 것과 실제 핵탄두를 탑재해 쏘는 시험은 결국은 언젠가 해야 되는 것”이라며 “해야 될 시험을 하는데 생색은 다 내면서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강동완 동아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핵실험 이후에 수소탄 실험은 핵 보유 국가로서의 완전한 지위를 가질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이라며 “핵실험 이후의 북한이 할 군사적 조치 중의 하나로 수소탄 실험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든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자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에 핵탄두를 장착해 태평양상으로 발사한다면 쉽게 전망하기 어려운 큰 파장이 예상된다. 북한은 지금까지 6차례 핵실험을 했지만 모두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있는 지하시설에서 하는 방식이었다. 이 중 1~4차 핵실험은 핵탄두가 아닌 핵폭발 장치를 터뜨린 것으로 추정됐다.
일부 전문가는 북한이 강도 높은 수준의 대응에 나설 것이지만 ‘태평양상 수소탄 시험’ 발언은 엄포성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수령이 자기 이름을 직접 걸고 성명을 낸 거라서 저 말에 어떻게든 책임을 지려고 할 것”이라며 “미국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것을 보여 주겠다는 것이니 평소에 얘기했던 괌 포위사격이나 ICBM 정상 각도 발사로 사거리를 보여 주는 게 아닌 전혀 예측하지 못한 강도 높은 수준의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태평양상 수소탄 시험은 옛날에 비키니섬에서 한 것처럼 자기 땅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라며 “태평양에서 한다는 건 실제로 어렵다고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도 “태평양상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한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엄포용 발언이라고 봐야 할 거 같다”며 “현실화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일각에서는 북한이 6차 핵실험 이후 도발 카드로 염두에 둔 방안 중 하나를 내보인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22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 시험을 해야 되기 때문에 ICBM을 정상 각도에서 쏘는 것과 실제 핵탄두를 탑재해 쏘는 시험은 결국은 언젠가 해야 되는 것”이라며 “해야 될 시험을 하는데 생색은 다 내면서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강동완 동아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핵실험 이후에 수소탄 실험은 핵 보유 국가로서의 완전한 지위를 가질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이라며 “핵실험 이후의 북한이 할 군사적 조치 중의 하나로 수소탄 실험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든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자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에 핵탄두를 장착해 태평양상으로 발사한다면 쉽게 전망하기 어려운 큰 파장이 예상된다. 북한은 지금까지 6차례 핵실험을 했지만 모두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있는 지하시설에서 하는 방식이었다. 이 중 1~4차 핵실험은 핵탄두가 아닌 핵폭발 장치를 터뜨린 것으로 추정됐다.
일부 전문가는 북한이 강도 높은 수준의 대응에 나설 것이지만 ‘태평양상 수소탄 시험’ 발언은 엄포성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수령이 자기 이름을 직접 걸고 성명을 낸 거라서 저 말에 어떻게든 책임을 지려고 할 것”이라며 “미국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것을 보여 주겠다는 것이니 평소에 얘기했던 괌 포위사격이나 ICBM 정상 각도 발사로 사거리를 보여 주는 게 아닌 전혀 예측하지 못한 강도 높은 수준의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태평양상 수소탄 시험은 옛날에 비키니섬에서 한 것처럼 자기 땅이 있어야 가능할 것”이라며 “태평양에서 한다는 건 실제로 어렵다고 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도 “태평양상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한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엄포용 발언이라고 봐야 할 거 같다”며 “현실화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7-09-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