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회담의 역사를 돌아보면 실무적 차원의 문제나 외적인 요인으로 회담이 개최 직전에 연기되거나 무산된 사례가 적지 않다.
지난 2001년 3월 13일 열기로 남북 양측이 합의했던 제5차 남북 장관급 회담은 전금진 당시 북측 단장이 회담 개최 예정일에 갑자기 ‘나올 수 없다’는 내용의 전화통지문을 우리측에 보내 열리지 못했다.
당시 전 단장은 뚜렷한 이유없이 “여러 가지를 고려해 회담에 나올 수 없게 됐다”고 밝혔으나 조지 부시 당시 미국 행정부의 대북 강경책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미와 관련한 불만 등이 겹친 것으로 분석됐다.
5차 장관급 회담은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9월에서야 개최됐다.
같은 해 4월 개최 예정이던 4차 적십자회담도 북측이 회담 장소 등과 관련해 남측에 아무런 통보를 해오지 않는 바람에 무기한 연기됐다가 결국 이듬해 9월 금강산에서 열렸다.
2002년 5월에는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남북경협추진위원회 제2차 회의가 예정일 하루 직전 북한의 갑자스러운 불참 통보로 무산됐다.
북한은 당시 최성홍 외교통상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해 언급한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공책이 먹혀들고 있다”는 발언을 문제 삼았다.
2004년 7월에는 장성급 군사회담 3차 실무대표 회담과 관련한 남측 제의에 대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북한은 회담을 무산시켰다.
당국간 회담 외에도 2001년 2월 3차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경우는 개최를 나흘 앞둔 시점에서 북한이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우리 정부의 비상경계 강화 조치를 문제 삼아 일방적으로 행사 연기 방침을 발표했다. 결국 1년 2개월 후에나 이 행사는 열렸다.
이밖에 지난 1991년 8월 평양에서 개최키로 했던 제4차 고위급회담은 남한에서 발생한 콜레라를 이유로 북측이 회담 장소 변경을 요청, 그해 10월 22일로 늦춰지기도 했다.
연합뉴스
지난 2001년 3월 13일 열기로 남북 양측이 합의했던 제5차 남북 장관급 회담은 전금진 당시 북측 단장이 회담 개최 예정일에 갑자기 ‘나올 수 없다’는 내용의 전화통지문을 우리측에 보내 열리지 못했다.
당시 전 단장은 뚜렷한 이유없이 “여러 가지를 고려해 회담에 나올 수 없게 됐다”고 밝혔으나 조지 부시 당시 미국 행정부의 대북 강경책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미와 관련한 불만 등이 겹친 것으로 분석됐다.
5차 장관급 회담은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9월에서야 개최됐다.
같은 해 4월 개최 예정이던 4차 적십자회담도 북측이 회담 장소 등과 관련해 남측에 아무런 통보를 해오지 않는 바람에 무기한 연기됐다가 결국 이듬해 9월 금강산에서 열렸다.
2002년 5월에는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남북경협추진위원회 제2차 회의가 예정일 하루 직전 북한의 갑자스러운 불참 통보로 무산됐다.
북한은 당시 최성홍 외교통상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해 언급한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공책이 먹혀들고 있다”는 발언을 문제 삼았다.
2004년 7월에는 장성급 군사회담 3차 실무대표 회담과 관련한 남측 제의에 대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북한은 회담을 무산시켰다.
당국간 회담 외에도 2001년 2월 3차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경우는 개최를 나흘 앞둔 시점에서 북한이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우리 정부의 비상경계 강화 조치를 문제 삼아 일방적으로 행사 연기 방침을 발표했다. 결국 1년 2개월 후에나 이 행사는 열렸다.
이밖에 지난 1991년 8월 평양에서 개최키로 했던 제4차 고위급회담은 남한에서 발생한 콜레라를 이유로 북측이 회담 장소 변경을 요청, 그해 10월 22일로 늦춰지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