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예비후보 그들은 누구
학생회 이력에 배관공·주부·강사 등 다양남자 47명·여자 19명… 대학졸·재학 33명
대부분 당선 가능성 낮지만 ‘잠재적 대표’
전문가 “청년세대 지역 정치 활동 지원을”
4·15 총선을 겨냥해 뛰고 있는 2030 청년 예비후보 66명 중 절반가량인 32명은 ‘정당인’으로 분류된다. 대한민국의 청년 정치는 여전히 ‘걸음마’ 수준에 있지만 그럼에도 청년들이 경험을 쌓고 정치 일선에 나설 수 있도록 돕는 디딤돌 역할을 정당이 어느 정도는 하고 있는 셈이다.
정당인으로 분류된 청년 예비후보들은 대부분 지역위원회에서 당직을 맡았거나 국회의원 보좌진으로 활동한 경험을 갖고 있었다. 대전 동구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장철민(36) 예비후보는 원내대표 정책조정실장과 홍영표 의원 보좌관으로 일했다. 서울 강남을에 등록한 자유한국당 정원석(31) 예비후보는 이 지역 당협위원장을, 서울 중랑갑의 정의당 김지수(26) 예비후보는 지역위원장과 정의당 청년부대변인을 지냈다.
‘86세대’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학생회 이력에 이어 정당에서 활동한 후보들도 적지 않다. 서울 동대문을의 민중당 김종민(34) 예비후보는 서울시립대 총학생회장, 대구 동갑의 한국당 박성민(27) 예비후보는 영남대 총학생회장, 같은 당 김찬영(37) 경북 구미갑 예비후보는 아주대 총학생회장 출신이다.
청년 예비후보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가운데 정당 소속 청년 예비후보 간 지역 편차는 더욱 심각했다. ‘직업 정치인’이라 할 수 있는 정당 소속 2030 예비후보 32명은 서울 17명, 경기 5명 등 대부분이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정당을 통한 체계적인 청년 정치인의 양성과 배출이 결국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로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청년 예비후보가 1명도 없는 197곳 지역구 유권자들은 ‘청년 정치’나 ‘정치권 세대교체’라는 화두를 실감하기 힘든 현실이다.
청년 예비후보들은 정당인 외에도 배관공, 주부, 영업사원, 학원강사, 대학원생, 배달업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 나왔다. 성공한 지역 명망가로 대표되는 기성 정치인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그럼에도 이들이 국민의 대표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 경력으로 확인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청년 예비후보 66명 중 33명은 대학교를 졸업했거나 재학 중이었다. 전체 예비후보 대졸·재학 비율(30.9%)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었지만 대학원 졸업 비율은 낮았다. 석박사 과정에 있거나 학위를 받은 경우는 19명, 나머지는 고졸 및 미기재였다. 성별로는 남자 47명, 여자 19명으로 전체 예비후보 성비와 비슷했다.
예비후보의 대부분은 사실 이번 총선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없다. 하지만 이들은 정치 고관여층이자 잠재적인 국민의 대표로서 지역 유권자들의 여론을 수렴·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청년 예비후보층이 얇은 지역은 지역 청년세대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어렵고 정치 경력을 풍부하게 쌓은 ‘지역 일꾼’의 탄생도 기대하기 힘들다.
전문가들은 정당 차원에서 지역 청년 정치의 기반을 다지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중앙정치는 그래도 청년 정치인이 젊은 세대를 대표한다는 인식이 있으니 젊은 후보들도 나름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있지만 지방은 청년 정치에 대한 인식이나 선거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게 사실”이라면서 “청년들이 평소 정당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줘야 한다”고 짚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청년 세대가 수도권에 몰리는 것보단 지역에서 배우고 기초의회부터 정치 경력과 전문성을 쌓을 수 있도록 정당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20-01-29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