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서 ‘개화’로…한중, 문 대통령 ‘국빈’ 방중에 의견일치

‘해빙’서 ‘개화’로…한중, 문 대통령 ‘국빈’ 방중에 의견일치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1-23 11:34
수정 2017-11-23 15: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중 격 최대한 높여 양국 관계 정상화 굳히기 의도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중순 중국을 ‘국빈’ 자격으로 방문한다. 방중의 격을 최대한 높여 얼어붙었던 관계의 ‘해빙’을 넘어서 ‘꽃을 활짝 피우는’ 단계로 나가자는 양국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결과물로 해석된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냉각됐다가 10·31 합의와 베트남과 필리핀에서의 시진핑 국가주석 및 리커창 총리와의 잇따른 회담을 거치면서 해빙기에 접어든 양국 관계의 완전한 정상화에 쐐기를 박겠다는 양국의 의지가 문 대통령의 국빈 방중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국빈 방문은 정상 임기 중 한 나라에 한 번만 하는 게 외교 관례이고, 방문국에서 상대국 정상을 국빈으로 초청하면 이에 응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즉, 한중 양국은 지금이 한중관계를 가속할 수 있는 적기로 보고, 한 번만 가능한 문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추진한 것으로 관측된다.

국빈 방문은 최고의 예우와 격식을 동반하지만, 그에 비례해 방문하는 쪽과 맞이하는 쪽 모두 번거로운 것도 사실이다.

이달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빈 방한이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무려 25년 만이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하지만 한중 양국은 서로에게 어색하고 불편했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면 다소의 번거로움은 감수할 만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10·31 합의에서 사드 배치로 인한 갈등을 봉인하기로 합의한 양국은 그간 관계 정상화에 이르기 위한 절차를 밟아왔다.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넉 달 만에 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을 열어 관계 복원을 정상차원에서 공식화했다. 당시 회담은 모두발언에서부터 한중 관계개선에 대한 양국 정상의 강한 의지가 묻어났다.

시 주석은 “오늘 우리 회동은 앞으로 양국 관계 발전과 한반도 문제에 있어 양측의 협력과 리더십 발휘에 있어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비 온 뒤 땅이 굳는다’는 우리 속담과 매경한고(梅經寒苦·봄을 알리는 매화는 겨울 추위를 이겨낸다)는 중국 사자성어를 언급하며 “한중관계가 일시적으로 어려웠지만, 한편으로 서로의 소중함을 재확인하는 시간이었다. 한중 간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할 수 있게 양측이 함께 노력하길 바라마지 않는다”고 화답했다.

회담에서 12월 중 문 대통령의 방중이라는 성과를 일궈낸 양국은 이튿날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를 계기로 문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 간 회동을 통해 양국 관계가 급속한 해빙모드에 접어들었음을 명확히 드러냈다.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이 큰 틀에서 정치·외교적 차원의 관계 정상화에 방점을 뒀다면, 리 총리와의 회담은 양국 관계 정상화가 경제와 문화, 과학 등 실질협력 분야로 구체화하고 있음을 확인한 자리였다.

여기서 문 대통령은 사드 배치문제로 중국 내에서 활동 중인 국내 기업들이 겪는 구체적인 어려움을 거론하면서 이를 적극 풀어줄 것을 요청했다.

중국 내 우리 기업이 생산한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보조금 제외 조치를 철회하고,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수입규제를 철회할 것을 요청한 게 대표적이다.

이런 흐름을 고스란히 이어받아 양 정상은 내달 정상회담에서 끊기다시피 했던 양국의 교류를 재생하고 실익을 주고받는 데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문 대통령은 사드 배치 이후 관광·음악·영화·자동차·유통 등 우리 기업에 전방위적으로 가해진 보복을 해소하는 데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더욱 강화된 경제·문화적 협력과 교류의 물꼬를 트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싱가포르 방송 채널뉴스아시아와 인터뷰에서 “한중 정상회담 등을 통해 양국 관계를 과거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양국의 ‘주파수 맞추기’도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 11일 베트남에서의 정상회담에서도 문 대통령과 시 주석 간에는 공통의 북핵 해결 로드맵을 그려내기 위한 노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회담에서 두 정상은 북한의 핵 동결을 입구로, 핵 폐기를 출구로 삼는 문 대통령의 ‘2단계 북핵 해법’ 구상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연합군사훈련 동시 중단이라는 시 주석의 ‘쌍중단’을 놓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다음 달 베이징 정상회담에서도 두 정상은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북핵 문제를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큰 그림을 그려내기 위해 머리를 맞댈 것으로 예상된다.

한중 간 베이징 정상회담은 내년 2월 서울 정상회담으로 자연스레 이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문 대통령은 지난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평창 동계올림픽에 맞춘 방한을 요청했고, 시 주석은 노력하되 못 오더라도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화답했다.

시 주석의 내년 2월 방한이 성사되면 양국 관계는 정상화를 넘어 번성기로 접어들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는 게 외교가 안팎의 관측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