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서 갈 수 있는 생활 공간 확보
지속가능한 강소 ‘자족도시’ 구상
美 배터리파크·日도야마시 대표적
한미연 “메가시티도 균형발전 대안”
‘콤팩트시티’(압축도시)가 지방소멸을 막을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주거·직장·상업시설을 기존 도시 시스템 내부로 가져와 출퇴근 거리와 각종 편의시설의 반경을 좁히면 인구 감소 지역도 지속가능한 강소 자족도시로 변모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19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한미연)의 ‘인구 특성 변화 분석을 통한 도시 유형 분류 및 지속가능성 진단’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는 대안으로 ‘콤팩트시티’가 눈에 띈다. 콤팩트시티는 주거·문화·복지시설을 한 공간에 모으고, 전통시장·터미널·병원 등을 반경 1㎞ 이내에 둔 인구 고밀도 도시를 뜻한다.
걸어서 어디든 갈 수 있는 생활 공간이 확보되고 자동차 이용 억제로 탄소 배출과 교통사고 위험, 에너지 소비도 줄어든다.
미국·일본·유럽연합(EU)·영국 등 해외 선진국도 비슷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도시 압축으로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공공 인프라 효율성이 향상되며 생활서비스 접근성이 좋아지면 인구가 유출되지 않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이 확보된다는 사실은 각국의 사례에서 확인 가능하다. 일본 도야마시와 아오모리시, 프랑스 파리 라데팡스, 미국 뉴욕 배터리파크 등이 대표적이다.
한미연은 균형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메가시티’(초광역도시)도 제시했다. 행정구역의 경계를 허물고 인구와 경제 규모를 확보해 제2의 수도권을 만들자는 의미다. 현재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논의가 한창이다.
한미연은 “콤팩트시티와 메가시티의 방향성은 다르지만 과감한 거버넌스 변화에 적정한 재정이 투입되면 소멸 위기 도시가 지속가능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2024-11-2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