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된 듯 고립된 채 사는 사람들… 시대정신 관통하는 질문 건네[서울신문 2024 신춘문예 - 소설 심사평]

연결된 듯 고립된 채 사는 사람들… 시대정신 관통하는 질문 건네[서울신문 2024 신춘문예 - 소설 심사평]

입력 2024-01-02 10:32
수정 2024-01-02 11: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찬제·박혜진 평론가, 윤성희·김이설·정용준 작가

이미지 확대
‘2024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 심사위원인 김이설(왼쪽부터)·윤성희·정용준 작가, 박혜진·우찬제 문학평론가가 응모작들을 읽어 보며 당선작을 논의하고 있다. 오장환 기자
‘2024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 심사위원인 김이설(왼쪽부터)·윤성희·정용준 작가, 박혜진·우찬제 문학평론가가 응모작들을 읽어 보며 당선작을 논의하고 있다.
오장환 기자
본심에 올라온 7편 가운데 집중적으로 논의된 작품은 ‘밤이 오면’과 ‘북바인딩 수업’이다. 두 편 모두 생의 막막함을 소재로 삼았으나 그것을 소설화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밤이 오면’은 화자의 불안과 걱정에 대한 심리 묘사가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만사에 초조한 화자는 여섯 살 난 딸이 느끼는 불안을 전달받으며 딸과 심리적 동기화 상태에 이르는 한편 그들의 불안에 공감하지 못하는 남편과는 거리를 좁히지 못한다.

우리가 일상이라 부르는 장면들에 숨겨진 불안의 이미지를 은밀하고 섬세하게 포착하는 장점이 돋보였으나 내면에 대한 밀착을 성찰적 진실로 승화시키지 못함으로써 독자의 경험을 단순화하는 것은 한계였다. 솔직한 고백은 언제나 매력적이다. 그러나 고백을 넘어설 때 소설은 넋두리 이상의 예술이 될 수 있다. 문학은 인간의 심리 한가운데로 들어가는 외딴길일 뿐만 아니라 그 길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암시하는 또 다른 길들을 내포하는 깊은 땅이기 때문이다.

‘북바인딩 수업’은 모호한 애정 관계에 있는 사촌지간이 책 만들기를 통해 서로의 감정과 태도를 가늠하는 과정을 그린다. 한동안 연락이 뜸하던 사촌의 연락을 받은 ‘나’는 그가 운영하는 북바인딩 수업에 참여해 타인의 책을 만들어 주는 동시에 자신의 책을 만든다. 소설의 단골 소재인 여느 ‘글쓰기 수업’과 달리 ‘북바인딩 수업’은 틀을 만드는 물질적 과정이 선행하고 거기 쓸 내용을 떠올리는 정신적 과정이 뒤에 오는 역행적 구성을 취한다. 이는 연결된 듯 고립된 채 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꿈꾸는 소통에 대한 메타포이다. 토대로서의 세계를 함께 만들고 그 안에 자기만의 언어를 기입한 뒤 서로가 쓴 것을 읽으며 타인과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이들은 저자나 독자로 구분되지 않는다.

차라리 제작자이자 연출가에 가까운 이들은 기존의 세계에 참여하는 대신 새로운 세계를 제작하는 역동적 희망의 주체다. 가벼운 에피소드를 통해 시대정신을 관통하는 질문을 건네고 있는 ‘북바인딩 수업’을 올해의 당선작으로 결정했다.

2024-01-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