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대 배진우 교수 연구팀 ‘세계 첫 개발’
렌즈 한 층으로 AF과 OIS 구현 기대
넓은 범위뿐만 아니라 수직·수평·대각선 방향의 초점 조절이 가능한 다방향 초점·줌 기능을 가진 적응형 렌즈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한 층의 렌즈만으로 스마트폰의 자동초첨(AF)과 손떨림보정(OIS) 등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배진우 교수(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응용화학전공) 연구팀이 4개의 독립된 전극을 이용해 낮은 전압으로도 렌즈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자유로운 초점 조절이 가능한 ‘PVC 고분자 젤 기반 다방향 초점 조절이 가능한 적응형 렌즈’를 세계 처음으로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한기대에 따르면 ‘적응형 렌즈’는 고체렌즈와 달리 형상을 자유롭게 바꾸고 초점거리를 유연하게 조절이 가능해 광학 분야에서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형태를 바꾸는데 필요한 구동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단순히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수준의 변형만이 가능했다.
연구팀은 렌즈를 구성하는 전극을 4개의 독립된 전극으로 분할해 더 복잡한 변형을 유도했으며, 넓은 범위의 초점거리를 구현하고 수직·수평·대각선 방향의 초점 조절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다방향 초점 조절과 줌 기능이 동시에 가능해 AF뿐만 아니라 OIS까지 단 한 층의 렌즈만으로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광학 센서 등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책임자인 배진우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소재와 이를 이용한 초소형 렌즈는 다양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초점을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과 4단계 두뇌한국(BK)21 FOUR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한기대 배진우 교수, 윤재욱 박사과정(제 1저자), 한동헌 석박사통합과정(공동 제 1저자), 오승주 박사과정, 우인선 박사과정, 박현수 석사과정이 참여했다.
렌즈 한 층으로 AF과 OIS 구현 기대
한기대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연구결과가 담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테크놀로지스’의 후면 표지논문(back cover paper) 이미지. 한기대 제공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배진우 교수(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응용화학전공) 연구팀이 4개의 독립된 전극을 이용해 낮은 전압으로도 렌즈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자유로운 초점 조절이 가능한 ‘PVC 고분자 젤 기반 다방향 초점 조절이 가능한 적응형 렌즈’를 세계 처음으로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한기대에 따르면 ‘적응형 렌즈’는 고체렌즈와 달리 형상을 자유롭게 바꾸고 초점거리를 유연하게 조절이 가능해 광학 분야에서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형태를 바꾸는데 필요한 구동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단순히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수준의 변형만이 가능했다.
연구팀은 렌즈를 구성하는 전극을 4개의 독립된 전극으로 분할해 더 복잡한 변형을 유도했으며, 넓은 범위의 초점거리를 구현하고 수직·수평·대각선 방향의 초점 조절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다방향 초점 조절과 줌 기능이 동시에 가능해 AF뿐만 아니라 OIS까지 단 한 층의 렌즈만으로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광학 센서 등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책임자인 배진우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소재와 이를 이용한 초소형 렌즈는 다양하게 형상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초점을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과 4단계 두뇌한국(BK)21 FOUR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한기대 배진우 교수, 윤재욱 박사과정(제 1저자), 한동헌 석박사통합과정(공동 제 1저자), 오승주 박사과정, 우인선 박사과정, 박현수 석사과정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