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들어 신고 줄더니 8월들어 1건 확진, 피해면적 전년보다 크게 감소할 듯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사과나무. 충북도 제공
현재 피해면적이 지난해 3분의 1수준인데다, 이달들어 발생건수가 1건에 그치는 등 확산세가 꺾이고 있어서다. 과수화상병은 뚜렷한 치료제와 예방법이 없어 ‘과수에이즈’, ‘과수구제역’ 등으로 불린다.
20일 충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올들어 현재까지 도내 화상병 피해면적은 94.9㏊다. 이는 피해가 컸던 작년(281㏊)과 비교하면 3분의 1 정도다. 지역별로는 충주 62.4㏊, 제천 15.1㏊, 음성 11.2㏊, 괴산 3.2㏊, 단양 2.2㏊, 진천 0.8㏊ 순이다.
피해액은 작년 571억원보다 383억원 줄어든 188억원으로 추산된다.
발생 농가는 244곳으로 전년도 506곳의 절반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7월 들어 발생이 감소하더니 8월들어 처음으로 지난 10일 제천 백운면 농가가 확진된 이후 도내에서 화상병이 한건도 나오지 않고 있다.
2019년은 8월16일, 2020년은 9월11일을 마지막으로 각각 도내에서 화상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 화상병의 확산세가 어느정도 수그러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가을로 넘어가면 사과보다 배 농가에서 과수화상병이 많이 발생하는 데, 충북지역은 사과농가가 5000여곳이 넘는 반면 배 농가는 500여곳 정도다. 올해 도내 배 농가 발생건수는 7곳이다.
도 관계자는 “과수화상병이 잦아들고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9월에도 발생한 적이 있어 경계의 끈을 놓지 않고 상황실을 계속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예찰을 강화해 조기에 화상병을 발견하고 폭염이 계속돼 화상병 발생이 적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잎과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이 불에 탄 것처럼 붉은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하며 말라 죽는 과수화상병은 1793년 미국에서 최초 보고됐다. 국내에선 2015년 경기도 안성의 배 농장에서 처음 발병했다. 발병하면 과수원은 쑥대밭으로 변한다. 100그루 이상 과수원은 6그루 이상 발생, 100그루 이하 과수원은 5% 이상 발생 때 모든 나무를 뿌리째 뽑아 묻어야 한다. 폐원된 과수원은 3년간 과수 농사를 짓지 못한다. 보상금은 나무수령 등을 따져 국비로 지급되는 데 대략 1㏊당 2억 1000만원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