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병실에 머물며 법적 공방을 이어온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19일 결국 재상고를 포기했다.
최근 건강이 극도로 악화해 더는 재판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8.15 특별사면을 기대하며 내린 결정이다.
CJ는 이날 이 회장의 유전병 진행 사진을 공개했다.
구속집행정지 상태로 서울대병원에서 CMT(샤르콧 마리 투스)라는 신경근육계 유전병과 만성신부전증 등을 치료받아온 이 회장은 최근 건강이 급속도로 나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사진에서는 CMT가 진행돼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근육이 모두 빠지고 손가락이 굽어버린 손, 근육위축으로 발등이 솟아오르고 발가락이 굽은 발, 뼈만 남은 듯한 앙상한 종아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회장은 현재 부축 없이는 전혀 걷지 못하며, 손과 손가락의 변형과 기능 저하로 인해 젓가락질을 못해 식사도 포크를 움켜쥔 채 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단추 잠그기와 같은 손 동작은 못하게 된 지 이미 오래라고 CJ 관계자는 말했다.
종아리 근육은 2012년 말보다 26% 빠져 체중이 양쪽 무릎에 실리면서 관절에 무리가 가는 상황이다. 이 회장은 결국 평생 못 걸을지 모른다는 공포감에 휩싸여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J그룹 관계자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매일 2회 전기자극 치료를 하고 있으나 이미 변형된 손과 발을 원 상태로 되돌릴 길은 없다”며 “무릎관절이 손상돼 통증을 호소하는 터라 치료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부인의 신장을 이식받은 데 따른 거부반응도 아직 지속하고 있으며 면역 억제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마저 겪고 있다.
스트레스와 충격이 겹치면서 정신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CJ그룹은 밝혔다.
3년이 넘는 투병과 재판 계속된 가운데 지난해 아버지 이맹희 CJ그룹 명예회장이 별세했다. 당시 이 회장은 건강때문에 부친의 빈소를 지키지도 못했다.
어머니 손복남 CJ그룹 고문까지 이 회장의 파기환송심 선고 직후 뇌경색으로 쓰러지면서 이 회장은 좌절감과 죄책감에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치료와 섭식 거부 증상까지 보여 수술 전 60㎏ 이상이던 체중이 52∼53kg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은 가족에게 “내가 이러다 죽는 거 아니냐. 살고 싶다”며 죽음의 공포를 호소한다고 한다.
이 회장이 지난 4월 서둘러 아들 선호(26) 씨를 결혼시킨 것도 이런 맥락이라는 게 CJ의 설명이다. 이 회장은 지난 설 무렵부터 “내가 어찌 될 지 모르니 너라도 빨리 가정을 꾸려라”며 강하게 결혼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최대 관심사는 이 회장이 8.15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될지 여부다.
CJ그룹은 기업 총수이기에 앞서 한 인간으로서 치료를 받게 해달라며 인도적 차원에서 선처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올해 사면 추진 배경으로 경제 위기와 재기의 기회 마련 등을 언급하면서 이 회장을 비롯한 일부 기업인이 특사 대상자로 거론되고 있다. 이 회장의 재상고 포기는 특사를 노린 것이란 여론의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제 막 형이 확정돼 실형을 거의 살지 않은 만큼 재상고 포기에도 불구하고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된다고 해도 ‘재벌총수 봐주기’라는 비난 여론 역시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회장의 상태를 고려하면 이러한 ‘위험’을 모두 감수하고서라도 재상고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CJ의 입장이다.
CJ그룹 관계자는 “재상고 포기는 ‘사람부터 살리고 보자’는 절박한 심정으로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재현 CJ그룹 회장 재상고 포기
19일 이재현 회장이 재상고를 포기했다고 밝히며 CJ그룹이 사진으로 공개한 이 회장의 유전병 CMT(샤르콧 마리 투스) 진행 상태.
CJ그룹 제공=연합뉴스
CJ그룹 제공=연합뉴스
CJ는 이날 이 회장의 유전병 진행 사진을 공개했다.
구속집행정지 상태로 서울대병원에서 CMT(샤르콧 마리 투스)라는 신경근육계 유전병과 만성신부전증 등을 치료받아온 이 회장은 최근 건강이 급속도로 나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사진에서는 CMT가 진행돼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근육이 모두 빠지고 손가락이 굽어버린 손, 근육위축으로 발등이 솟아오르고 발가락이 굽은 발, 뼈만 남은 듯한 앙상한 종아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회장은 현재 부축 없이는 전혀 걷지 못하며, 손과 손가락의 변형과 기능 저하로 인해 젓가락질을 못해 식사도 포크를 움켜쥔 채 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단추 잠그기와 같은 손 동작은 못하게 된 지 이미 오래라고 CJ 관계자는 말했다.
종아리 근육은 2012년 말보다 26% 빠져 체중이 양쪽 무릎에 실리면서 관절에 무리가 가는 상황이다. 이 회장은 결국 평생 못 걸을지 모른다는 공포감에 휩싸여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J그룹 관계자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매일 2회 전기자극 치료를 하고 있으나 이미 변형된 손과 발을 원 상태로 되돌릴 길은 없다”며 “무릎관절이 손상돼 통증을 호소하는 터라 치료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부인의 신장을 이식받은 데 따른 거부반응도 아직 지속하고 있으며 면역 억제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마저 겪고 있다.
스트레스와 충격이 겹치면서 정신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CJ그룹은 밝혔다.
3년이 넘는 투병과 재판 계속된 가운데 지난해 아버지 이맹희 CJ그룹 명예회장이 별세했다. 당시 이 회장은 건강때문에 부친의 빈소를 지키지도 못했다.
어머니 손복남 CJ그룹 고문까지 이 회장의 파기환송심 선고 직후 뇌경색으로 쓰러지면서 이 회장은 좌절감과 죄책감에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치료와 섭식 거부 증상까지 보여 수술 전 60㎏ 이상이던 체중이 52∼53kg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은 가족에게 “내가 이러다 죽는 거 아니냐. 살고 싶다”며 죽음의 공포를 호소한다고 한다.
이 회장이 지난 4월 서둘러 아들 선호(26) 씨를 결혼시킨 것도 이런 맥락이라는 게 CJ의 설명이다. 이 회장은 지난 설 무렵부터 “내가 어찌 될 지 모르니 너라도 빨리 가정을 꾸려라”며 강하게 결혼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최대 관심사는 이 회장이 8.15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될지 여부다.
CJ그룹은 기업 총수이기에 앞서 한 인간으로서 치료를 받게 해달라며 인도적 차원에서 선처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올해 사면 추진 배경으로 경제 위기와 재기의 기회 마련 등을 언급하면서 이 회장을 비롯한 일부 기업인이 특사 대상자로 거론되고 있다. 이 회장의 재상고 포기는 특사를 노린 것이란 여론의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제 막 형이 확정돼 실형을 거의 살지 않은 만큼 재상고 포기에도 불구하고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된다고 해도 ‘재벌총수 봐주기’라는 비난 여론 역시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회장의 상태를 고려하면 이러한 ‘위험’을 모두 감수하고서라도 재상고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CJ의 입장이다.
CJ그룹 관계자는 “재상고 포기는 ‘사람부터 살리고 보자’는 절박한 심정으로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