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AIIB 지분율, 국익 최우선”…中지분율 30%대 관측도

기재부 “AIIB 지분율, 국익 최우선”…中지분율 30%대 관측도

입력 2015-03-27 09:32
수정 2015-03-27 14: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사 문제 물밑 협의 중…미국, 어느 정도 용인”

기획재정부는 27일 한국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 결정과 관련해 “앞으로 지분율 구성에 있어 국익이 반영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희남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은 이날 미주개발은행(IDB) 연차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에서 AIIB 가입 결정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면서 “앞으로 AIIB 설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목소리를 낼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미지 확대
정부, AIIB 참여 결정…중국에 서한으로 통보
정부, AIIB 참여 결정…중국에 서한으로 통보 우리나라가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참여하기로 했다. 정부는 관계 부처 간 논의를 거쳐 AIIB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이런 사실을 중국에 서한으로 통보했다고 26일 공식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AIIB 설립 양해각서 체결식 모습.
연합뉴스


최 관리관은 “3월 말 기한 이전에 AIIB 참여를 결정함에 따라 협정문 논의 과정에서 국익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창립 회원국이기 때문에 지분 프리미엄을 얻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경제력을 기준으로 지분을 배분한다고 하지만, 아시아 역내국·역외국 배정, 국내총생산(GDP)을 명목 또는 실질 기준으로 하느냐 등 여러 요소를 감안해야 한다”며 “역내 기준으로는 한국이 중국과 인도에 이어 GDP 규모가 3위지만, 지분율이 3번째가 될 것이라 장담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우리나라의 지분율에 대해 “GDP 규모를 갖고 계산해보면 5% 전후나 5%를 조금 넘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면서 호주 참여시 역내에서 중국·인도·호주에 이어 4번째로 지분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당국자는 단순 계산을 전제로 중국의 지분에 대해 “한 30%대 중반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기재부도 현재 AIIB 에 참여하기로 한 국가가 36개국인 점을 감안해 중국 지분율이 50%를 한참 밑돌것으로 예상했다.

기재부는 AIIB의 지배구조와 관련해 우리 측 입장을 중국에 줄곧 요구해온 점을 강조했다.

최 관리관은 “그동안 우리가 지속적으로 지배구조, 세이프가드와 관련해 개선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중국에 요구했고, 이사회 의사결정 구조를 강화하겠다는 등 중국 측의 전향적 의사 표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송인창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도 정부 세종청사 브리핑에서 “AIIB의 경우 투자 사업 승인 주체가 이사회보다는 사무국 경영진 위주로 얘기가 돼 오던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며 “이것이 이사회 권한으로 변경된 것이 가장 큰 진전”이라고 그간의 협상 과정을 전했다.

기재부는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건설 수요를 1년에 7천300억달러 정도로 내다보고, 이에 못미치는 자본 공급을 AIIB가 메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송 국장은 “AIIB와 관련한 주요 인프라는 통신 분야가 될 것”이라며 “한국은 통신, 에너지, 교통 등에 강점이 있어 한국 기업이 수주를 많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AIIB 참여 결정까지 미국 재무 및 외교라인과 상당한 접촉을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송 국장은 “재무라인의 경우 위로는 부총리부터 아래로는 실무자까지 여러번 얘기했다”면서 “아시아에 인프라 수요가 많고, 한국 기업들의 공급 능력이 있다는 점을 미국도 어느 정도 용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송 국장은 부총재 등 AIIB 내의 인사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여서 한국을 포함한 참여국들이 물밑에서 이해관계에 따라 협의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