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서울대 큐브위성은 사출 후 양방향 교신까지 성공
조선대, 연세대 큐브위성 사출 성공했지만 양방향 교신 실패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 누리호 우주로 날았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1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모사체 위성만 실렸던 1차 발사와 달리 성능검증위성과 4기 큐브위성을 탑재한 누리호는 2차 발사에 성공했다.
고흥 사진공동취재단
고흥 사진공동취재단
지난달 21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큐브위성 사출이라는 최종 임무를 완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물론 큐브위성 4기 중 양방향 교신이 성공한 것은 2기 뿐이어서 절반의 성공으로 남았다.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로 고도 700㎞에 쏘아 올려진 성능검증위성이 지난 5일 연세대팀 큐브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했다. 이로써 지난달 29일 조선대팀이 개발한 큐브위성 ‘스텝 큐브 랩-Ⅱ’(STEP Cube Lab-Ⅱ)를 시작으로 1일 카이스트팀의 ‘랑데브’, 3일 서울대팀의 ‘스누그라이트-Ⅱ’(SNUGLITE-Ⅱ), 5일 연세대팀 ‘미먼’을 모두 성공적으로 사출했다.
가장 먼저 사출된 조선대팀의 큐브위성은 무게 9.6㎏으로 가장 무거웠지만 분리 이후 11시간 만에 위성 상태와 배터리 잔량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서 성공에 대한 기대가 켰다. 그렇지만 지난 5일까지도 양방향 교신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조선대 수신국에서 연구팀이 큐브위성 신호를 기다리는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세 번째 큐브위성인 서울대팀 스누그라이트-Ⅱ는 사출 하루 뒤인 지난 4일 지상국과 양방향 교신을 했다. 서울대팀 큐브위성은 GPS 신호를 활용해 대기 관측 임무를 맡고 있는데 실제 임무에 돌입하기 위해서는 위성 자세 안정화 이후 2달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반도와 서해 상공 미세먼지 촬영 임무를 맡은 연세대팀 큐브위성은 5일 성공적으로 사출됐지만 아직 양방향 교신에는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 탑재돼 사출된 큐브위성들은 2019년에 열린 ‘제5회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4개 대학팀에서 직접 제작, 개발한 것이다.
그동안 학생팀이 개발한 큐브위성을 해외 발사체에 실어 4번 발사했지만 양방향 교신에 성공한 적은 없었다. 큐브위성은 적은 예산으로 개발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져 상업용 위성보다 성공률은 낮다. 또 실패할 경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도 쉽지 않지만 대부분 전력, 충격 등으로 인한 오작동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큐브위성의 교신 성공률은 일반 실용위성보다 낮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