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만든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지원배제 명단)를 실행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한 직원이, 블랙리스트 작성 지시의 장본인인 김기춘(78·구속)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그동안 하지 못했던 말을 법정에서 털어놨다.
1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0부(부장 황병헌) 심리로 열린 김 전 실장 재판에 예술위원회의 부장 장모씨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장씨는 법정에서 “블랙리스트 명령을 최초로 수행한 부서장의 자격으로 말하고 싶다”고 운을 뗀 뒤 그동안의 소회를 털어놨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장씨는 피고인석에 앉아있던 김 전 실장을 가리키며 “오래 전부터 많이 뵙고 싶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만나고 싶었던 때는 오늘 이 자리가 아니라 2015년 블랙리스트가 한창일 때였다”고 덧붙였다.
그는 “도저히 말도 안 되는 이 지시를 내린 사람을 직접 만나 왜 이것이 말이 안 되는지 조목조목 설명하고 싶었다”면서 “아쉽게도 그럴 기회를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장씨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내려온 블랙리스트 지시를 수행하며 고통스러웠던 일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문체부에서 내려온 블랙리스트는 도저히 온전한 이성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조리한 명령이었다”면서 “부조리한 명령을 실행하기가 너무 힘들고 큰 고통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씨는 블랙리스트 실행 업무를 함께 한 예술위원회 직원들과, 피해자인 예술인들에게도 사과의 뜻을 전했다. 장씨는 “도저히 이해되지 않을 일을 하면서 (예술위원회 직원) 여러분이 겪어야 했던 모멸감을 잘 알고 있다”면서 “진심으로 미안하다는 말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예술위원회는) 정부의 산하기관으로, 정부가 오른쪽으로 가라고 하면 오른쪽으로 가야한다”면서 “명령이 부당한 경우 70보, 50보, 30보로 줄여 가는 정도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설명했다.
장씨는 또 “예술인 여러분의 양에 차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지만, (앞으로 예술위원회가) 새롭게 기대에 부응하도록 노력하겠다는 말이 최선인 것 같다”면서 예술인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
장씨는 증언 중에 남북 분단, 6·25전쟁, 군사독재 시절 등을 언급하며 김 전 실장이 예술작품들을 좌파 성향으로 지목한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김 전 실장도 피해자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한국 현대사의 아픔이 없었다면 김 전 실장도 박근형, 이윤택, 고선웅, 한강을 즐길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김 전 실장이) 박근형의 ‘청춘예찬’, 이윤택의 ‘문제적 인간 연산’,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편견 없이 보실 수 있는 그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고도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서울신문DB
보도에 따르면 장씨는 피고인석에 앉아있던 김 전 실장을 가리키며 “오래 전부터 많이 뵙고 싶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만나고 싶었던 때는 오늘 이 자리가 아니라 2015년 블랙리스트가 한창일 때였다”고 덧붙였다.
그는 “도저히 말도 안 되는 이 지시를 내린 사람을 직접 만나 왜 이것이 말이 안 되는지 조목조목 설명하고 싶었다”면서 “아쉽게도 그럴 기회를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장씨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내려온 블랙리스트 지시를 수행하며 고통스러웠던 일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문체부에서 내려온 블랙리스트는 도저히 온전한 이성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조리한 명령이었다”면서 “부조리한 명령을 실행하기가 너무 힘들고 큰 고통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씨는 블랙리스트 실행 업무를 함께 한 예술위원회 직원들과, 피해자인 예술인들에게도 사과의 뜻을 전했다. 장씨는 “도저히 이해되지 않을 일을 하면서 (예술위원회 직원) 여러분이 겪어야 했던 모멸감을 잘 알고 있다”면서 “진심으로 미안하다는 말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예술위원회는) 정부의 산하기관으로, 정부가 오른쪽으로 가라고 하면 오른쪽으로 가야한다”면서 “명령이 부당한 경우 70보, 50보, 30보로 줄여 가는 정도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설명했다.
장씨는 또 “예술인 여러분의 양에 차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지만, (앞으로 예술위원회가) 새롭게 기대에 부응하도록 노력하겠다는 말이 최선인 것 같다”면서 예술인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
장씨는 증언 중에 남북 분단, 6·25전쟁, 군사독재 시절 등을 언급하며 김 전 실장이 예술작품들을 좌파 성향으로 지목한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김 전 실장도 피해자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한국 현대사의 아픔이 없었다면 김 전 실장도 박근형, 이윤택, 고선웅, 한강을 즐길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김 전 실장이) 박근형의 ‘청춘예찬’, 이윤택의 ‘문제적 인간 연산’,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편견 없이 보실 수 있는 그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고도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