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 확진자·3번째 확진자 22일 접촉
3·4차 감염 땐 접촉자 늘어 방역 어려워져
더 광범위하고 촘촘한 역학조사 등 필요
전문가 “감염 패턴·감시 체계 정비 시급”
2차 감염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다. 2차 감염 발생에 따라 그동안 중국 방문력을 기초로 한 방역 대책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광범위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중국은 물론 일본과 독일, 베트남 등에서는 이미 신종 코로나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이 감염된 사람 간 전파 사례가 있었지만 국내에선 30일 오전까지만 해도 2차 감염자가 없었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가 30일 “여섯 번째 환자인 56세 한국인 남성은 세 번째 환자(54세 남성)의 접촉자”라고 발표하면서 2차 감염자 차단이라는 목표는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질본에 따르면 세 번째 확진환자는 신종 코로나에 걸린 상태에서 지난 20일 중국 우한에서 귀국한 이후 닷새 동안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었다. 귀국 당시에는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은 무증상자였다.
이 환자는 귀국 이후 서울 강남구에 있는 의원과 호텔, 한강 주변을 돌아다닌 것으로 드러나면서 보건당국을 긴장시킨 바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여섯 번째 환자가 지난 22일 이 환자와 강남구 소재 한일관에서 식사를 같이해 일상접촉자로 분류됐던 사람이라고 확인했다. 그동안 질본이 모니터링한 결과 세 번째 환자와 접촉한 95명 가운데 밀접접촉자는 15명이었다. 밀접접촉자는 환자에게 얼마나 오래 노출됐는지, 당시 환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었는지 등 노출 시간과 노출 위험도 등을 근거로 역학조사관이 판단하게 된다. 이 환자는 지난 20일 귀국한 뒤 22일부터 발열과 오한 증상이 나타나 보건소에 신고했고 25일 유증상자로 분류됐다.
그동안 정부는 첫 번째 확진환자 발생 이후 지역사회 확산과 2차 감염을 차단하고자 밀접 접촉자 관리와 검역을 강화해 왔다. 바이러스의 확산과 지역사회 내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밀접접촉자의 촘촘한 관리가 핵심 과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한국인 간의 2차 감염이 실제 발생함에 따라 더욱 광범위하고 촘촘한 역학조사와 방역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2차 감염자의 접촉자 중에서 또 다른 감염자가 나온다면 3차, 4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고, 접촉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방역이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질본에서도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밀접접촉자가 발생한 장소와 의료기관의 상호명을 모두 공개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앞서 관영 중국중앙(CC)TV는 29일 “중국이 세계보건기구(WHO)에 우한의 4차 감염과 우한 외 지역의 2차 감염 환자 사례를 보고했다”며 “사스보다 전염력이 강하다는 걸 보여준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신종 코로나가 우리 지역사회 내에서 전파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주요 사례”라면서 “이를 계기로 전파력 수준을 분석해 지역사회 감염의 패턴과 그에 따른 감시체계를 갖춰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현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해외에서 2차 감염 사례가 보고됐기 때문에 예측하지 못했던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2020-01-31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