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토’에 떠난 문화 여행 아빠는 1년 만에 딸의 손을 다시 잡았다
저는 요즘 검도를 배웁니다. 검도장에서 40대 중반 아빠와 초등학생 아들 부자(父子)를 가끔 마주칩니다. 부자가 탈의실에서 나누는 대화가 정겹습니다.“네 친구는 정말 달리기 잘하더라. 선수 같던데?” “그러게. 나도 걔처럼 달리기 잘하고 싶은데 잘 안 돼.” “연습하면 빨라질 거야. 너무 기죽지 마.” 검도 연습을 한 뒤 아빠는 아들에게 이것저것 조언을 하기도 합니다. “죽도를 휘두를 때 동작이 너무 작더라. 그리고 상체를 너무 흔들던데 그건 주의해야 돼.”
제가 검도를 시작한 것은 4개월 전. 서울시교육청의 한 사무관이 권하면서부터입니다. 운동이라곤 제대로 해본 적 없는 저를 움직인 건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운동’이란 대목이었습니다. 검도는 일반 격투기와 달리 자녀와 함께 할 수 있고, 정신 수양에도 좋다고 했습니다. “애가 말썽을 피우면 대련을 통해 공식적으로 두들겨 패도 상관없다”는 말도 끌리긴 했습니다만.
이런저런 이유로 시작한 검도는 잦은 야근과 저녁 술 약속으로 빠지기 일쑤입니다. 검도장에 가기 싫어지면 검도장에서 만나는 부자를 떠올립니다. 그리고 그 부자처럼 아이와 함께 죽도를 휘두르는 미래를 상상합니다. 이런 ‘멋진 아빠’에 대한 상상은 제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운동을 4개월 넘게 할 수 있었던 원동력입니다.
멋진 아빠는 아이의 추억으로 만들어집니다. 제 추억 속 아버지의 모습도 그렇습니다. 아버지와 저는 종종 여름이면 인천 소연평도에 함께 가곤 했습니다. 항구에 내려 작은 산을 넘어가 널찍한 곳에 텐트를 쳐놓고 3박 4일 동안 낚시를 했습니다. 그늘 하나 없는 뙤약볕에 지치고 어느 날엔 비가 몰아쳐 텐트가 쫄딱 젖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검정 줄무늬에 가시가 뾰족한 우럭, 미끈한 몸매의 팔뚝만 한 농어를 잡아 그 자리에서 먹었던 회의 맛이 여전히 생생합니다.
아이와 멋진 추억을 만들고 멋진 아빠가 되고 싶지만 지금의 아빠들은 너무 바쁩니다. 아내는 “아이들과 시간을 가지라”고 재촉하지만 아빠는 너무 피곤합니다. 이런 아빠들에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진행하는 ‘꿈다락 토요일’은 하나의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놀토를 맞아 자녀와 함께하기 좋은 무료 프로그램들인데, 지역구별로 진행됩니다. 꿈다락 토요일의 하나로, 2년 전 이맘때쯤 가이드를 따라 서울 종로구 북촌마을 가회동 길을 천천히 걸으며 여행하는 ‘꼼지락 주말문화여행’에서 만난 한 아빠의 고백이 떠오릅니다. “예전에 아빠에게 달려들던 딸이 어느 날부턴가 손을 잡으면 부끄럽고 창피하다며 슬그머니 빼곤 했어요. 너무 서운했어요. 아이와 친해지려고 주말에 뭔가를 해야겠다 싶었는데 머리 싸매고 여행 준비하는 게 너무 힘들었지요. 솔직히 아빠들은 주말엔 쉬고 싶잖아요. 이 프로그램 신청도 아내가 해줘서 사실 억지로 나왔어요. 처음엔 뭐 이런 걸 신청했느냐고 불평했는데, 이렇게 1년 만에 딸의 손을 잡고 길을 걸으니 눈물이 날 정도로 기쁘네요.”
꿈다락 토요일이 아니어도 잘 찾아보면 자녀와 주말에 할 수 있는 무료 프로그램은 많습니다. 아빠가 찾기 어려우면 엄마가 대신 찾아 주고 여기에 ‘못 이기는 척’ 해보는 것도 권합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1-24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