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교수 자의적 채점… 형평성은? ② 고교 과정에 부합 검증은? ③ 또 다른 사교육 부추길 가능성?
2015학년도 입시부터 서울대가 논술을 없앴다.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지난 5일 수시 일반전형 면접을 치렀던 수험생들의 이야기는 달랐다. 글을 쓰는 과정이 없었을 뿐 면접이 논술시험을 치는 것보다 더 어려웠다고 입을 모았다.일반적인 면접에서처럼 자기소개서와 학생부에 대한 질문을 하는 것이 아니라 논술과 똑같은 방식의 문제를 글이 아닌 말로 풀이하는 방식의 심층면접(구술)이 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자유전공학부의 경우 한글, 영문, 도표 제시문이 포함된 인문, 사회과학, 수학 등 3개 문제가 나왔다. 대기 시간 30분 동안 수험생 혼자 문제를 푼 뒤 두 명의 교수 앞에서 15분 동안 각각의 답을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수험생들은 제시문이 어려웠으며, 논리적 허점이 있을 때면 어김없이 교수의 반론이 이어졌고, 이에 재반론을 펴야 했기 때문에 무척 부담스러웠다고 전했다. 같은 방식으로 치러진 경제학과 역시 영문과 도표 제시문을 활용한 사회과학, 확률과 행렬의 수학 문제 등이 나왔는데 면접관들의 즉각적인 허점 지적과 반론에 당황스러웠다고 한다. 수험생들의 반응은 크게 두 부류였다. 서울대에 수시 지원한 학생들이 동시에 연세대와 고려대, 성균관대 등을 노리고 논술 시험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 큰 어려움이 없었다는 이들과 고교 과정만 충실히 학습하면 된다는 말만 믿고 면접에 임했다가 낭패를 봤다는 학생들로 갈렸다. 학교 측은 “모집 요강에 자세한 설명이 있고, 예년도 문제들이 홈페이지에 공개되기 때문에 차분히 준비해 온 학생들은 어렵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답안이 남아 있는 논술과 달리 구술은 채점이 자의적으로 이뤄질 수 있고, 교수들 앞에서 담력 테스트도 겸하기 때문에 진짜 실력을 평가하는 데는 부족한 면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 J고교 박모(43) 교사는 “고교 교과과정에 부합하는지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고, 일선 학교에서 제대로 된 토론식 교육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새로운 사교육 시장을 열어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12-1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