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출제 전 과정에 일선 고교 교사 참여
대학 입시 논술고사가 사교육 조장 논란에 휩싸이는 이유로는 ‘시각 차이’가 꼽힌다. 대학에서는 교과서와 EBS 교재에 나오는 지문을 활용해 문제를 만들어 고교 과정을 충실히 한 수험생에게 어렵지 않다고 한다. 반면 일선 고교는 교사들도 풀기 쉽지 않은 수준이라고 평가한다.지난달 22일 한국외대 상경대학, 글로벌경영대학 등의 수험생들이 치른 2015학년도 논술 문제의 일부. 지난해 2개이던 영어 자료가 1개로 줄었고 모두 6~7개였던 제시문도 5개로 줄었다.
한국외대 제공
한국외대 제공
실험은 1년 전부터 시작됐다. 한국외대는 논술 문제 유형 개발을 시작하면서 교수 3명에 일선 고교 교사 1명을 참여시켰다.
유기환 한국외대 입학처장
한국외대는 2015학년도 논술 출제위원으로 교수 10명과 서울 및 경기도 교육청을 통해 추천받은 일선 고교 교사 4명을 선임했고, 이들은 본 문제 출제를 위해 시내 모처의 호텔에서 8박 9일의 ‘감금 생활’을 시작했다. 교수 위원들은 문제에 사용될 문학, 역사, 철학, 사회과학, 정치, 경제, 사회문화, 영어 지문 등 교과서를 포함한 다양한 제시문 자료를 가져왔고, 교사 위원들은 해당 자료들이 고교 과정을 충실히 학습한 학생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 확인하는 선별 작업을 진행했다. 제시문과 함께 논제 요구 사항 또한 교수와 교사들의 진지한 토론을 거쳐 완성됐다.
출제위원으로 참가한 교사들은 매우 피곤했지만 출제 전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논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며 만족했다. 교수들 또한 일선 고교와 눈높이를 공유함으로써 고교 과정에서 소화 가능하면서도 변별력 있는 문제를 출제할 수 있었다.
새 유형의 논술 문제에 대한 수험생들의 답안 완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채점에 공을 많이 들였다. 유기환 한국외대 입학처장은 “기존 ‘키워드 채점’ 방식으로는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기가 쉽지 않아 답안 내용 전반을 논리적으로 검토해야 했기 때문에 채점 시간이 늘어났고, 결국 채점 기간을 하루 늘렸다”면서 “또 문제를 2개 영역으로 나누다 보니 한 영역에서 헤매더라도 다른 영역에서 만회할 수 있게 돼 답안의 완성도가 높아졌다”고 밝혔다. 유 처장은 “사교육을 틀어막기보다 대학과 고교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공교육의 실력을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큰 문제가 없는 한 올해 유형은 내년에도 유지되지만 교사들이 참여하는 논술문제 출제위원회에서 연구를 거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12-0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