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왜 좋을까?”
“난 어디서 태어났는지도 모르고, 진짜 엄마·아빠가 누군지 모르는데 엄마들은 이렇게 같이 있어 주잖아.”
“그렇게 말해 줘서 고마워. 그리고 엄마는 어디 안 갈 거야.”
초등학교 4학년 진서(10·가명)는 보육원 보육사 겸 사례관리 선생님 박정경(40·가명)씨에게 가끔 이렇게 속마음을 털어놓는다. 그럴 때마다 박씨는 진서를 다독이면서도 ‘평생 옆에 있어 줄 수 없을 텐데’라는 생각에 마음 한구석이 먹먹하다.
진서가 어렴풋이 친구들과 다르다고 느낀 건 유치원에 다닐 때부터다. 산책을 하는데 친구들은 “우리집이다!”라며 저마다 아파트를 가리켰다. 보육원을 지나갈 때 진서는 아무 말 없이 땅만 보고 걸었다. 초등학교 첫 참관수업에 온 다른 엄마들을 보고 ‘내 엄마(보육원 선생님)는 진짜 엄마가 아니구나’ 바로 알아챘다.
사춘기 문턱에 있는 진서의 머릿속은 ‘나는 누굴까’, ‘왜 친구들과 다르지?’, ‘혼자가 되면 어쩌지?’라는 생각으로 뒤엉켜 있다. 진서와 주기적으로 이야기를 나누며 심리치료와 연계하는 박씨는 “입양특례법이 개정된 2012년 이후 늘어난 베이비박스 아이들이 곧 사춘기에 접어든다. 이 아이들은 작은 머리로 ‘내가 어디서 왔을까’ 치열하게 고민한다”며 “더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 문제 행동으로 표현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서울신문이 서울 지역 보육원 34곳의 종사자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7.9%가 최근 3개월간 아동의 문제 행동을 목격했다. 문제 행동의 원인에 대해선 ▲심리적 불안정(59.8%) ▲일반 가정과 다른 환경(52.7%) ▲영유아기 애착 형성 부족(50.9%) 순으로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