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유서 늘 품고 다녀…두 번째 도전 ‘10년 만에 정권 교체’

盧 유서 늘 품고 다녀…두 번째 도전 ‘10년 만에 정권 교체’

입력 2017-05-10 01:00
수정 2017-05-10 0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문재인 인생 10장면 (6)~(10)

이미지 확대
문재인(왼쪽) 당선인이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빈소가 차려진 경남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고인의 영정을 들고 나오고 있다. 서울신문 DB
문재인(왼쪽) 당선인이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빈소가 차려진 경남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고인의 영정을 들고 나오고 있다.
서울신문 DB


(6) 카트만두에서 접한 탄핵

2003년 12월이 되면서 이듬해 4월 총선에 출마하라는 압박이 거세지자 문 당선인은 민정수석을 그만두기로 결심한다. 몸도 마음도 지친 상태였다. 무엇보다 총선에 출마하라는 ‘징발론’이 가장 괴로웠다. 이듬해 2월 청와대에 들어온 지 1년여 만에 ‘자유인’ 신분으로 돌아간 그는 오랫동안 꿈꿔 온 히말라야 트레킹을 떠났다. 그러던 중 네팔의 카트만두 호텔에서 예상치 못했던 소식을 접하게 된다. 호텔방으로 배달된 영자신문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탄핵 소식을 접한 것. 급하게 귀국해 노 전 대통령 대리인단 간사로 실무적 역할과 함께 여론전도 맡았다. 5월 14일 헌재에서 탄핵안이 기각됐고 3일 뒤 그는 다시 청와대에 들어가게 됐다. “대통령이 간곡하게 부탁했다. 날 염두에 두고 국민참여수석실을 시민사회수석실로 확대 개편했다고. 뿌리칠 도리가 없었다”고 했다. 이후 민정수석, 비서실장을 지내며 노 전 대통령의 곁을 지켰다.
①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6월 네팔을 방문했을 당시 현지 안내를 맡았던 벅터 람(왼쪽)과 찍은 기념 사진. ② 2003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최종변론이 열린 헌법재판소 대심판장에서 대통령 대리인단 간사였던 문재인 변호사가 자료를 검토하는 모습. ③ 문 당선인이 부인 김정숙(오른쪽) 여사와 함께 군대에 간 아들 준용(가운데)씨를 면회하는 모습. ④문 당선인이 지난 8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외손자 서지안(왼쪽)군을 안고 활짝 웃고 있는 모습. 오른쪽은 딸 다혜씨. 벅터 람 페이스북·서울신문 DB·문 당선인 측 제공
①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6월 네팔을 방문했을 당시 현지 안내를 맡았던 벅터 람(왼쪽)과 찍은 기념 사진. ② 2003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최종변론이 열린 헌법재판소 대심판장에서 대통령 대리인단 간사였던 문재인 변호사가 자료를 검토하는 모습. ③ 문 당선인이 부인 김정숙(오른쪽) 여사와 함께 군대에 간 아들 준용(가운데)씨를 면회하는 모습. ④문 당선인이 지난 8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외손자 서지안(왼쪽)군을 안고 활짝 웃고 있는 모습. 오른쪽은 딸 다혜씨.
벅터 람 페이스북·서울신문 DB·문 당선인 측 제공


(7) 생애 가장 길고 힘들었던 날

2009년 5월 23일 새벽. “생애 가장 고통스럽고 견디기 힘들었던 ‘그날’”은 봉하에서 걸려온 김경수 비서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전화로 시작됐다. “부엉이 바위에서 떨어지신 것 같다”고 했다. 한걸음에 양산 병원으로 달려갔으나 이미 늦었다. 하늘이 무너져 내렸다. 그럼에도 ‘나까지 정신을 놓으면 안 된다’고 되뇌며 버텼다. 경황이 없는 유족들을 대신해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에게 서거 사실을 알렸다. 영결식 상주였던 그는 “그날만큼 내가 마지막 비서실장을 했던 게 후회된 적이 없다. 시신 확인에서부터 운명, 서거 발표, 그를 보내기 위한 회의 주재까지. 나 혼자 있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했다”고 회고했다. 영결식장을 찾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헌화 도중 백원우 의원이 ‘정치보복을 사죄하라’고 고함치자, 문 당선인이 찾아가 고개를 숙이며 정중히 사과하는 모습은 깊은 인상을 남겼다. 문 당선인은 지금도 노 전 대통령의 유서를 품고 다닌다. 가끔 꿈에서라도 한 번씩 만나는 것이 반갑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8) 운명처럼 불려나온 2012년 대선

2012년 4·11 총선 때 부산 사상에서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정치인’의 길을 걷게 됐다. 측근들은 그에게 “총선에 출마해 주십시오”라는 말 대신 “안 하겠다는 말씀만 하지 말아 주십시오”라고 당부했다. 이때만 해도 ‘권력 의지’는 거의 없었다는 게 공통된 평가다. ‘강제 소환’되듯 제18대 대선에 뛰어들었다. 안철수 당시 후보와의 단일화를 둘러싼 진통 끝에 야권의 단일 후보가 됐다. 하지만 그는 역대 당선인을 능가하는 득표를 하고도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51%(1577만 3128표) 대 48%(1469만 2632표)라는 근소한 차였다. 2012년 12월 19일 밤, 낙선 소식을 접한 그는 패배를 인정했다. “나의 실패지 새 정치를 바라는 모든 분의 실패가 아니다”라는 말을 남겼다. 대선 패배의 반성문 격인 ‘1219 끝이 시작이다’에서 “노무현을 넘어서는 것이 그의 마지막 부탁이라는 것을 안다. 꼭 그렇게 하겠다”고 다짐했다.

(9) 모두 말린 2·8전대… 4·13총선 승리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2·8전당대회 출마를 놓고 주변에서 반대가 컸다. 원로들은 물론 측근들도 “가만히 있으면 꽃가마 태워 대선에 데려갈 텐데 흠집만 잡힐 게 뻔한 대표를 왜 하려고 드느냐”고 만류했다. 하지만 정면 돌파를 선택했다. 이후 가시밭길의 연속. 두 달 만에 치러진 4·29 재보궐 선거 참패로 ‘책임론’이 불거졌다. 4·13총선을 치르기 위한 공천혁신안을 처리하기 위해 당 대표직 재신임 투표까지 내걸었지만, 안철수 전 대표와 비주류들이 친문 패권주의를 비판하며 당을 박차고 나갔다. 정치인 문재인의 최대 시련이었지만, 문 당선인의 ‘정치근육’은 이때 단련됐다.

4·13총선을 앞두고 또 승부수를 띄웠다.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에서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을 맡았던 김종인씨를 비상대책위 대표로 삼고초려 끝에 영입했다. 결국 100석조차 어렵다던 선거에서 원내 1당으로 우뚝 섰다. 문 당선인이 정계은퇴까지 공언하며 공들였던 호남에선 참패했지만, 두 번째 대권 도전 기회를 열기엔 충분했다. 매번 문 당선인의 정치적 승부수에 대해 여의도는 고개를 내저었지만, 결국 그의 선택이 옳았던 셈이다.

(10) 탄핵과 조기 대선

가장 유력한 주자임에도 박스권 지지율은 움직일 줄 몰랐다. 범보수진영의 강력한 대항마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거론됐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말 최순실 게이트가 ‘촛불’에 불을 댕기면서 상황은 반전했다. 10월 29일, 1차 촛불집회에 3만명(주최 측 추산)이 모였지만 2주 뒤 100만명이 운집했다. 10년간 쌓인 국민의 분노가 폭발했다. 12월 9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조기 대선 국면에 돌입했고, 정권교체의 바람이 거세졌다.

막상 등판한 반 전 사무총장은 제풀에 쓰러졌다. 당 경선에서 이재명 성남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가 잠시 위협했지만 문 당선인의 조직과 경험, 콘텐츠를 넘어서기는 역부족이었다. 본선에서는 중도·보수표를 흡수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와 보수층을 결집시킨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가 역전을 노렸지만, ‘준비된 대통령론’과 ‘적폐청산’을 내세운 문 당선인이 친구 노무현에 이어 10년 만에 진보정권의 맥을 잇는 데 걸림돌이 되지는 못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7-05-10 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