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남북 고위급 접촉’으로 규정

정부, ‘남북 고위급 접촉’으로 규정

입력 2014-02-12 00:00
수정 2014-02-1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통일부 “1990년대 ‘고위급 회담’과 차별성 두려는 목적”

정부가 12일 여는 고위급 대화를 ‘회담’이 아니라 ‘접촉’으로 이름붙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남북은 장·차관급 이상 고위 당국자들이 만나 대화를 할 때 대개 ‘고위급 회담’이란 명칭을 써왔다.

대표적인 고위급 회담은 지난 1990년 9월부터 1992년 9월까지 모두 8번의 본회담이 열린 남북고위급회담이다. 당시 남북에서 각각 총리급이 대표로 참석했다.

바로 이 고위급 회담과 구분하기 위해 ‘고위급 접촉’이란 표현을 썼다는 것이 통일부의 설명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1일 “고유명사인 1990년대 초반 ‘고위급회담’과 혼돈을 피하기 위해 ‘고위급 접촉’으로 정한 걸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접촉’은 지금까지는 주로 남북의 적십자 관계자나 과장급 당국자들이 실무선에서 만날 때 쓴 용어다.

이 때문에 이번 ‘접촉’이 더 고위급의 ‘회담’으로 가는 징검다리 성격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그러나 이 당국자는 “이번 접촉이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성격은 아닌 것 같다”면서 이 같은 견해를 부인했다.

당국자는 이어 “(접촉을) 한 번에 끝낼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번 접촉이 2·3차 등 후속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고위급 회담’은 1990년대 초반 남북대화의 상징으로 남겨두고 박근혜 정부는 ‘고위급 접촉’이란 신조어를 통해 새로운 남북관계를 모색한다는 인상을 주려는 의도도 슬며시 엿보인다.

일각에서는 논의할 의제가 미리 합의된 경우에는 ‘회담’을, 그렇지 않으면 ‘접촉’을 쓴다는 견해도 내놓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남북회담을 뒤돌아보면 반대의 사례도 많았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