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막판까지 1순위…“내용 있는 회담 위해 싱가포르 낙점”

판문점 막판까지 1순위…“내용 있는 회담 위해 싱가포르 낙점”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5-11 22:36
수정 2018-05-11 2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미 정상회담 장소 선택 배경은

중립적 외교 무대…회담 집중 가능
판문점의 상징성 되레 부담으로 작용


3일 정의용 방미 때 통보받았지만
靑 유동성 크다고 보고 상황 예의주시
트럼프, 9일 통화 때 미안한 마음 표시


‘안보회담 경험’ 샹그릴라호텔 유력
이미지 확대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 싱가포르 개최’ 소식을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 보고받은 시점은 지난 4일이다. 이날 오전 9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통화할 당시에는 문 대통령은 ‘판문점에서 5월 3~4주에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한다’고 알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부터 회담 개최 날짜와 장소를 전달받아 문 대통령에게 즉시 보고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일 문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판문점 대신 싱가포르를 개최지로 최종 낙점한 데 대해 미안한 마음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문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판문점 개최에 더 무게를 뒀던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이 유독 판문점에 관심을 보여서였다. 남북 정상회담 직후인 지난달 28일 통화에서 한·미 정상은 판문점, 싱가포르, 인천 송도를 정상회담 후보지로 언급했다. 이 중 인천 송도는 가볍게 거론했을 뿐 무게를 두진 않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순위가 판문점이었다”며 “가장 많이 대화한 곳도 판문점이고, 트럼프 대통령의 질문이 가장 많았던 곳도 판문점이었다”고 말했다. 판문점 평화의집과 자유의집이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회의를 할 만한 장소인지를 집중적으로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틀 뒤인 지난달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여러 곳이 거론되고 있지만 (판문점) 평화의집과 자유의집이 제3국보다 더 대표성이 있고 중요하며 지속가능한 장소”라고 글을 남겼다.

미국으로부터 싱가포르 개최 소식을 전달받고서도 청와대는 유동성이 크다고 보고 상황을 예의 주시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북한은 상당히 적극적으로 북·미 정상회담을 평양에서 개최하려 했고, 판문점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도 여전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북·미가 정상회담 장소로 싱가포르를 선택한 것은 역사적인 상징성보다 안정성을 우선시한 결과로 풀이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판문점이나 평양은 상징성과 극적 효과는 있지만 회담 내용 자체에 많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싱가포르는 대표적인 중립적 외교 무대로 북·미 모두 안정적으로 회담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 경호, 안전성, 교통과 이동의 편의성, 취재 환경 등에서 우수하다.

또 북한 대사관이 있는 데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장거리 이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북한에도 만족스러운 장소다. 김 위원장이 최근 중국 다롄 방문 때 탔던 전용기 ‘참매 1호’(IL62M)는 최대 비행거리가 약 1만㎞로, 평양에서 5000㎞가량 떨어진 싱가포르까지 충분히 비행할 수 있다.

싱가포르 현지매체들은 ‘세기의 만남’이 이뤄질 곳으로 샹그릴라호텔, 마리나베이샌즈호텔, 센토사섬을 꼽았다. 이 가운데 샹그릴라호텔이 가장 유력하다. 2002년부터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연례 안보회의 ‘샹그릴라 대화’를 유치해 왔다. 올해 샹그릴라 대화가 6월 1~3일 이곳에서 열리기 때문에 기존 보안계획을 북·미 정상회담 때까지 이어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싱가포르의 ‘랜드마크’ 마리나베이샌즈호텔은 전체 면적이 63빌딩의 2배에 가깝고 객실이 2500개가 넘는다. 트럼프 대통령과 막역한 셸던 애덜슨 라스베이거스 샌즈 코퍼레이션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소유이기도 하다. 다만 취약한 보안이 문제다. 센토사섬은 보안과 경호 측면에서 가장 뛰어나다. 본섬과 연결된 외길만 통제하면 섬 출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주변 경관이 뛰어나 정상회담의 긴장감을 누그러뜨리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섬 내 호텔 규모가 크지 않은 점이 걸림돌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강신 기자 xin@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5-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