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미공군 수송기로 신속 전개” 주한미군 2011년부터 가상 훈련
미국의 고(高)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사드’(THAAD)가 작전계획상 유사시 한반도에 전개될 미군 증원 전력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정부가 공식적으로 사드 배치 여부를 협의한 적이 없다고 밝힌 가운데 주한 미군이 사드 배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형국이라 미국 정부의 최종 결정이 주목된다.군의 한 소식통은 15일 “사드는 작전 계획상 한반도 유사시 증원되는 미군 전력에 포함돼 있다”며 “사드 체계는 미국 공군 대형 수송기로 수송할 수 있어 신속한 전개가 가능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사드 체계는 트럭에 탑재되는 발사대와 요격미사일, 항공 수송이 가능한 탐지레이더(AN/TPT2), 통신 및 데이터 관리 역할을 하는 화력 통제 시스템 등 4개 부품으로 구성된다.
미국 정부는 현재 6개 사드 포대의 도입 계약을 체결했고 이 중 2개 포대는 미 본토에, 1개 포대는 괌에 배치했다. 주한미군사령부가 2012년부터 지난해 초까지 비공식적으로 부지 조사를 실시한 것은 상시 배치 가능성과 함께 한반도 유사시 전개도 염두에 둔 것으로 관측된다. 주한 미군은 2011년부터 사드의 한국 배치를 염두에 두고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의 가상 발사 훈련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 미군 관계자는 “위기 사태가 발생했을 때 모든 가용 무기를 동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 “미국은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드 배치에 관한 부지 조사를 실시했고 아직 어디에 배치할지 최종 결정은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미국 정부가 아직 전 세계적 사드 배치 전략을 완성하지 않은 만큼 “요청이 없었기 때문에 협의도 없었고 결정된 것도 없다”는 전략적 모호성을 고수하고 있다. 사드 배치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비에 도움이 된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중국 등 주변국의 반발을 의식한 태도다.
다만 정부는 미측이 수조원대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드를 주한 미군에 상시 배치하더라도 예산을 부담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사드 배치가 자국을 겨냥한 것이라는 중국의 강한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탐지 거리가 2000㎞에 달하는 전방기지모드 레이더가 함께 배치되는 것은 곤란하다는 견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5-03-1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