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 모드로 전환되나
25일 고위급 접촉 타결로 남북 관계는 화해 모드로의 극적인 전환을 눈앞에 두게 됐다. 갈등 상황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당국 간 대화 채널이 재가동됐다는 점에서 남북 관계가 무력 충돌 등 돌발 상황에 대한 ‘위기 관리’는 가능한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이번 고위급 접촉이 박근혜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복심’들 간 대리전이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은 회담에서 남북 지도자로부터 실시간 지침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 간접적인 정상회담을 치렀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9월 한·중 정상회담, 10월 한·미 정상회담을 이어 가며 동북아 외교에서 추진력을 얻은 청와대가 남북 정상회담으로 목표를 옮기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제기한다. 이번 남북 간 회담이 ‘고위급 접촉→당국회담→정상회담’의 순서로 가는 과정이 아니겠느냐는 분석이다. 특히 임기 후반기에 외교안보 분야의 ‘대형 이벤트’가 기획됐던 과거 정부의 전례가 이번 정부에서도 되풀이될 가능성이 있다.
박 대통령은 올해 초 기자회견에서 “분단 고통 해소와 평화 통일의 길을 열기 위해 필요하다면 누구라도 만날 수 있다”면서 “남북 정상회담도 그런 데 도움이 되면 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일단 청와대는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다. 남북 대화가 재개된 초기 단계인데 정상회담 개최는 너무 높은 목표가 아니냐는 반응이다. 김 실장은 이날 새벽 협상 결과를 브리핑하는 자리에서 정상회담에 대한 협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지금 이야기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5-08-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