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당권·총선 겨냥한 계파 힘겨루기 통제 관건당 정체성 정리도 숙제’세월호법’ 해법도출 주목
새정치민주연합의 ‘임시 선장’으로 18일 긴급 투입된 5선의 문희상 의원이 난파선처럼 표류 중인 당의 방향타를 바로세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작년 초에 이어 두 번째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게 된 문 의원 앞에 놓인 당의 위기상황과 과제는 당시와 크게 다르지 않다.
18대 대선 직후 지도부 공백 속에서 패배 책임을 놓고 극심한 당내 분열이 불거졌던 첫 번째 임기와 7·30 재·보선 참패 후 유일하게 남은 선출직 지도부인 박영선 원내대표의 거취 논란으로 계파 갈등이 극에 달한 현 시점이 묘하게 닮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비슷한 위기를 극복해 본 문 의원이 다시 한 번 구원투수로 나서 당을 수습하는 것이 좋다는 여론에 힘이 실린 것으로 보인다.
문 의원이 지휘할 이번 비대위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어수선한 당내 분열상을 수습하고 와해된 조직을 재건해 내년 초 열리는 차기 전당대회까지 무사히 당을 끌어가는 ‘관리형 비대위’가 될 수밖에 없다.
당초 새정치연합은 쇄신 작업을 주도할 ‘혁신형 비대위’를 구성할 방침이었으나, 세월호특별법 협상 표류와 박 원내대표 논란으로 시간이 지연된 만큼 ‘관리형 비대위’가 불가피하다는 내부 여론이 우세해져서다.
일각에서는 ‘조기 전대론’을 언급하기도 하지만 당장 정기국회와 세월호특별법 등의 현안을 제쳐놓을 수 없다는 현실을 고려하면, 내년 1∼3월 전대 개최를 목표로 계획표를 짜 하나씩 실천하게 될 전망이다.
’관리자’로서 합격점을 받았던 문 의원이지만 이번에는 ‘안철수 신당’과의 통합 과정에서 당내 의사결정기구조차 제대로 구성되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이 골치 아플 것으로 보인다.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조직강화특위를 하나하나 새로 만들어야 하는 데다 당면 과제인 전대 개최를 위해 전당대회준비위까지 구성해야 한다.
이와 같은 조직 구성과 전대 룰 결정 과정에서 차기 당권 전쟁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계파 간 힘겨루기가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지역위원장 선발 권한을 가진 조강특위의 경우 각 지역위원장이 전당대회 대의원 선정에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 사람을 하나라도 더 심기를 원하는 계파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부딪힐 지점으로 꼽힌다.
지역위원장이 차기 총선후보 공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도 조강특위 구성을 둘러싼 ‘계파전쟁’에 기름을 부을 수 있다.
당의 모델을 공천 등 주요 결정에서 당원의 의사를 최우선시하는 ‘당원중심 정당’으로 하느냐, 모바일 투표 등 온·오프라인 시민 참여를 통한 ‘네트워크 정당’으로 하느냐를 놓고 불거질 당내 논란의 정리도 문 의원에게 맡겨진 숙제다.
당원중심 정당은 김한길 전 공동대표 등 주로 중도파들이, 네트워크 정당은 친노(친노무현) 진영 등이 각각 선호하고 있어 계파 간 힘겨루기로 비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당의 정체성과 관련해 중도 노선을 강화할지, 아니면 ‘좌클릭’으로 야당의 선명성을 강화할지의 논란도 ‘문희상호’가 정리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당의 사분오열상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가운데 세월호특별법 협상과 멈춰선 정기국회 정상화라는 외부 과제도 녹록지 않아 문 의원의 어깨를 무겁게 한다.
문 의원이 지난해 초 첫 번째 비대위원장을 지낼 당시가 정권 초기의 밀월 기간이었던 데 반해 지금은 박근혜 대통령이 ‘수사권, 기소권은 없다’며 대야 강경론을 펴는 경색 국면이라는 차이도 있다.
계파갈등 문제만 해도 1기 비대위원장 시절 대선평가보고서를 두고 불꽃을 튄 주류와 비주류 간 내분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어 잘 해결할 수 있을지 의심하는 시선이 있다.
게다가 박 원내대표 거취 논란이 완전히 진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친노계가 지원한 것으로 알려진 문 의원이 전면에 등장함으로써 오히려 내부 갈등을 증폭시킬 소지가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문 비대위원장의 ‘지상과제 1호’는 계파분란을 정리하는 일이라는데 당안팎의 지적은 이런 배경에서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