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기간 ‘오락·문화 지출’ 감소세
앤데믹 이후 코로나 이전 지출 웃돌아
소득 높을수록 오락·문화 지출도 컸다
지닌달 30일 김포공항 국제선 하네다 항공편 탑승수속 카운터 앞이 승객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3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이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2019~2023년)를 통해 본 가구의 오락·문화 지출 변화’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오락·문화 지출은 2019년 18만원에서 2020년에는 14만원으로 주저앉았습니다.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단체여행비 등 외출 관련 활동의 지출이 급감한 영향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면서 오락·문화 지출도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이후 오락·문화 지출은 점차 상승해 2023년에는 20만 1000원까지 늘었습니다. 물가 변동을 고려한 실질 가구당 월평균 오락·문화 지출도 2019년에 17만 8000원에서 2020년 14만원까지 급격히 줄었다가 엔데믹 이후 2023년에는 18만 7000원까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웃도는 수준으로 오락·문화 지출이 늘어난 것입니다.
단체여행비, 오락·문화 지출 중 최대
지난달 26일 제주 조천읍 함덕해수욕장을 찾은 나들이객이 물놀이를 하며 한낮의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시스
하지만 2022년 이후 해외입국자의 격리 의무가 해제되면서 해외여행객이 다시 늘어나면서 단체여행비가 오락·문화 지출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항목별 지출 비율을 보면 단체여행비가 24.3%로 가장 높았고 문화서비스(22.7%), 운동 및 오락 서비스(15.7%)가 뒤를 이었습니다.
소득 5분위가 1분위 가구의 6배 지출
제주에 올해 첫 장맛비가 내린 지난달 20일 오전 제주국제공항에서 관광객들이 비를 피해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전체 소비에서 오락·문화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달랐습니다. 1분위 가구는 전체 소비 지출 중 5.3%를 오락·문화로 지출했지만, 5분위 가구는 8.3%를 지출했습니다. 오락·문화 지출은 필수 지출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득이 많은 가구에서 지출 비중이 컸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소득별로 오락·문화 지출 항목의 비율도 달랐습니다. 5분위 가구는 단체여행비(29.3%), 운동 및 오락 서비스(18.1%), 문화서비스(17.7%) 등 순으로 많았습니다. 반면 1분위 가구는 문화서비스(33.0%), 단체여행비(19.4%), 운동 및 오락 서비스(11.3%) 등 순이었습니다. 통계개발원은 “4년 전인 2019년에도 소득분위별 오락·문화 지출 비율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고 전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