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눈으로 본 한국 사회 현주소
이념과 지역, 계층으로 대표되던 한국 사회의 균열 구도에 세대 갈등과 페미니즘 논란이 더해지고 있다. 서로 다른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치 물구나무를 서 보듯 세상을 달리 보려는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서울신문의 MZ세대 김미선 사원이 훌쩍 물구나무를 섰다. 무엇을 다르게 보고 있을까.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 같은 모습은 ‘이준석 돌풍’이라는 정치현상으로 이어졌고, 최근 여론조사는 그 영향력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서울신문이 창간 117주년을 맞아 지난 12~14일 여론조사기관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만 18세 이상 1208명을 대상으로 ‘기대하는 청년 정치인’을 물은 결과 1위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50.3%)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이대남’(20대 남성)의 지지율은 67.4%로 전 연령대·성별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반면 20대 여성의 지지율은 23.9%로 가장 낮았다. ‘이대남’이 여전히 ‘이준석 현상’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결과다.
이들은 정치적으로만 ‘스윙보터’가 아니다. 한 사회의 변화와 트렌드를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경제·산업 현장에서도 MZ세대의 일거수일투족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고작’ 입사 3~4년차 직장인들이 그룹 오너를 향해 성과급을 나누라고 요구하고, 선배와 함께 머리띠를 두르기를 거부하고 별도 노조를 만들겠다고 나선다.
기성세대 사이에서는 이들의 ‘눈치’를 봐야 하느냐는 볼멘소리도 나오지만, 한편에서는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산업화 이후 가장 극심한 불평등의 세습과 계층 간 격차에 주목하기도 한다. 서울신문이 마련한 MZ세대 좌담회에서 ‘90년대생’ 작가·청년 정치인들은 자신들을 탄광 속에서 유독가스를 가장 먼저 감지하고 죽는 ‘카나리아 새’에 비유하고, 부모 세대에서 본격화된 경제·사회적 불평등 격차가 가장 심화된 시대에 살고 있는 세대, 앞선 세대와 달리 ‘영끌’로도 더는 집을 살 수 없는 세대라고 규정한다.
서울신문은 창간 117주년을 맞아 최근 우리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세대론을 통해 한국 사회의 현재상을 모색해 본다.
2021-07-1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