옻칠·탈금·개금 등 보존 처리 완료
고려 후기 대표 금동불상인 충남 당진의 신암사 금동여래좌상(申庵寺 金銅如來坐像)이 개금 등을 거쳐 원형을 되찾았다.
13일 당진시에 따르면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보존 처리를 완료하고 점안 법회를 거행했다.
금동여래좌상은 고려 충숙왕 때 지어진 신암사 극락전에 모셔진 고려시대 금동불좌상이다. 국가 지정 보물로 높이 88㎝, 너비 63㎝다. 크지는 않지만, 성인 10여명이 겨우 들 수 있을 정도로 무게가 나간다고 알려졌다.
불상 얼굴은 무게감 있는 모습으로 미소를 짓고 있다. 상체는 장대하며 느슨하게 표현된 가슴근육은 장곡사 불상과 같은 양식이다. 하체는 넓고 당당한 모습이며, 무릎 근육 묘사는 상체의 표현과 조화를 이룬다.
하지만 지난 2021년 정밀진단에서 불상 외면의 금박 탈락과 부풀어 오름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금동여래좌상은 2년 만에 1억8000만 원을 들여 옻칠과 탈금, 개금 등 과정을 거쳐 원형을 되찾았다.
시 관계자는 “고려 후기 대표 금동불상으로 향후 고려시대 금동불상 및 불단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당진 신암사는 고려 충숙왕 때 능성 구씨의 4대손인 구예가 지었다고 전해지며, 조선시대 이후 불교 탄압 속에서도 현존하고 있는 문중 사찰이다.
보존 처리를 마친 충남 당진의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당진시 제공
고려 후기 대표 금동불상인 충남 당진의 신암사 금동여래좌상(申庵寺 金銅如來坐像)이 개금 등을 거쳐 원형을 되찾았다.
13일 당진시에 따르면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보존 처리를 완료하고 점안 법회를 거행했다.
금동여래좌상은 고려 충숙왕 때 지어진 신암사 극락전에 모셔진 고려시대 금동불좌상이다. 국가 지정 보물로 높이 88㎝, 너비 63㎝다. 크지는 않지만, 성인 10여명이 겨우 들 수 있을 정도로 무게가 나간다고 알려졌다.
불상 얼굴은 무게감 있는 모습으로 미소를 짓고 있다. 상체는 장대하며 느슨하게 표현된 가슴근육은 장곡사 불상과 같은 양식이다. 하체는 넓고 당당한 모습이며, 무릎 근육 묘사는 상체의 표현과 조화를 이룬다.
하지만 지난 2021년 정밀진단에서 불상 외면의 금박 탈락과 부풀어 오름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금동여래좌상은 2년 만에 1억8000만 원을 들여 옻칠과 탈금, 개금 등 과정을 거쳐 원형을 되찾았다.
시 관계자는 “고려 후기 대표 금동불상으로 향후 고려시대 금동불상 및 불단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당진 신암사는 고려 충숙왕 때 능성 구씨의 4대손인 구예가 지었다고 전해지며, 조선시대 이후 불교 탄압 속에서도 현존하고 있는 문중 사찰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