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 ‘책’ 끝내 죽지 않는다

인공지능 시대, ‘책’ 끝내 죽지 않는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9-26 23:47
수정 2024-09-26 2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옥스퍼드 책의 역사/제임스 레이븐 외 15인/홍정인 옮김/교유서가/632쪽/3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을 창시한 컴퓨터과학자 니컬러스 네그로폰테가 1979년 내놓은 보고서 ‘페이지 없는 책’의 삽화.  교유서가 제공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을 창시한 컴퓨터과학자 니컬러스 네그로폰테가 1979년 내놓은 보고서 ‘페이지 없는 책’의 삽화.
교유서가 제공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책’을 ‘종이를 여러 장 묶어 맨 물건’, ‘일정한 목적, 내용, 체재에 맞춰 사상, 감정, 지식 따위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적거나 인쇄해 묶어 놓은 것’으로 풀이한다. 사전적 의미와 별개로 ‘책’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느끼는 감정과 생각은 사람의 지문이 다르듯 저마다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을 어느 날 떨어진 낙엽을 책 사이에 끼워 놨던 기억, 곰팡내 나는 중고 책들로 가득 찬 서가에서 원하는 책을 찾아 뛸 듯이 기뻤던 기억, 어쩌면 요즘 아이들에게는 부모나 어른들이 자꾸 권하는 재미없는 물건으로 기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요즘 사람들은 책이라고 하면 국어사전 설명처럼 인쇄된 종이 뭉치를 떠올리지만,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면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을 책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을 만날 수도 있다.

이미지 확대
석판 인쇄술은 18세기 말 독일에서 발명된 새로운 인쇄 공정이었다. 교유서가 제공
석판 인쇄술은 18세기 말 독일에서 발명된 새로운 인쇄 공정이었다.
교유서가 제공


이 책은 케임브리지 도서 프로젝트 기금 총책임자이자 영국 에식스대 근대사 명예교수인 제임스 레이븐을 필두로 스웨덴, 이탈리아, 미국, 프랑스, 일본 등 각국의 역사학자와 서지학자, 미디어 연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6명이 모여 인류가 처음 책을 발명했던 시기부터 현재까지 정리한 ‘책의 전기’다. 저자들은 단순히 책의 역사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책을 책답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독자에게 던진다.

이미지 확대
1770년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의 작품 ‘책 읽는 젊은 여성’.  교유서가 제공
1770년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의 작품 ‘책 읽는 젊은 여성’.
교유서가 제공


‘책이 책이지 뭐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저자들은 처음 14쪽을 할애해 기원전 3500~1900년경부터 2019년까지 문자 및 책과 관련된 역사를 연표로 만들어 보여 준다. 인류가 문자와 언어를 사용하면서부터 책은 늘 함께 있었음을 보여 주면서 책의 역사를 얕잡아 봐선 안 된다고 은근히 말하는 것 같은 느낌까지 들게 한다.

앞쪽 연표를 제외하고는 16명의 전문가가 저마다 전문 분야를 바탕으로 책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그래서 다른 ‘책의 역사책’과 달리 두꺼운 두께에도 술술 읽힌다.

이미지 확대
갑골은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다. 기원전 1300~1150년 상나라 후기 점술가들은 황제와 나라의 운명을 예측하기 위해 황소의 어깨뼈 뒷면에 뜨겁게 달군 쇠막대로 구멍을 뚫었다.   교유서가 제공
갑골은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다. 기원전 1300~1150년 상나라 후기 점술가들은 황제와 나라의 운명을 예측하기 위해 황소의 어깨뼈 뒷면에 뜨겁게 달군 쇠막대로 구멍을 뚫었다. 
교유서가 제공


더 반가운 이유는 다른 책들과 달리 한중일을 한 장에 할애해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들은 한국이 낮은 출생률과 인구 감소의 현실에 맞닥뜨렸고, 신간의 수는 증가했지만 전체적인 책과 잡지 판매량 하락, 전통적 서점 숫자의 급격한 감소, 사람들이 읽는 것을 피하는 태도 등을 꼽으며 책의 미래를 다소 어둡게 분석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쇼츠(짧은 동영상)나 소셜미디어(SNS)에 푹 빠져 읽기를 싫어하고 심지어 거부하는 사람까지 늘어나는 한국의 현실을 보고 있노라면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책이 사라지는 곳이 되지 않을까 우려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저자들이 강조하는 것처럼 “책은 적응력이 매우 뛰어난 상품으로 입증”된 만큼 우리가 생각지 못한 기술과 방법으로 여전히 살아남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버리고 싶지는 않다.
2024-09-27 2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