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종교가 함께 창조했다

과학, 종교가 함께 창조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4-26 03:17
수정 2024-04-26 0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지스테리아/니컬러스 스펜서 지음/전경훈 옮김/책과함께/720쪽/4만 3000원

얽히고설킨 과학과 종교사
‘사실’ ‘가치’ 라는 다른 대표 영역
역사적 양립 가능하게 해
각각의 가르침은 다르지만
‘인간’이란 중첩된 부분도
왜곡된 과학·종교의 충돌 사례
갈릴레이의 종교재판
지동설 아닌 교황 모욕 탓
과학혁명 이끈 각종 실험
신자들이 주도하기도
이미지 확대
인공지능은 과학과 종교의 역사를 오랜 세월 뒷받침해 온 ‘인간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 문제들과 맞닥뜨리게 한다. 책과함께 제공
인공지능은 과학과 종교의 역사를 오랜 세월 뒷받침해 온 ‘인간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 문제들과 맞닥뜨리게 한다.
책과함께 제공
199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탈리아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따랐다며 종교재판에 넘기는 등 박해했던 것에 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1996년에는 “다윈의 진화론은 가톨릭 교의에 모순되지 않는다”며 로마 교황청 사상 처음으로 다윈의 진화론을 인정했다.

그렇지만 ‘진화론은 거짓, 인간은 신이 창조한 것’이라는 주장을 펴는 종교인이 있는가 하면, ‘종교는 정신의 바이러스’라고 말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인류 문화의 중요한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과 종교가 사이좋았던 적은 한 번도 없었을까. 이 책은 그런 궁금증을 갖고 ‘과학과 종교가 얽히고설킨 2000년 동안의 역사’를 조심스럽게 살펴본다.
이미지 확대
1
1
일단 책 제목이 궁금증을 자아낸다. ‘마지스테리아’라니. 마지스테리아는 스승을 뜻하는 라틴어 ‘마지스테르’에서 나온 것으로 ‘교도권’을 의미하는 마지스테리움의 복수형이다. 교도권은 가톨릭교회에서 복음 선포와 관련된 교황과 주교들의 권위 있는 가르침이나 가르치는 권한을 뜻한다.

미국의 저명한 진화생물학자이자 과학사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1941~2002)는 마지스테리움의 개념으로 종교와 과학의 관계를 해석하고 정리하려 했다. 과학과 종교는 각각 사실과 가치라는 서로 다른 영역을 대표하는, 겹치지 않는 마지스테리아이기 때문에 서로를 쓰러뜨리지 않고도 양립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저자는 여기서 한발 더 나간다. 굴드의 의견에 동의하지만 과연 종교와 과학이 전혀 다른 영역이어서 한 번도 겹치지 않았었느냐는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이미지 확대
아인슈타인(왼쪽)이 벨기에 가톨릭 사제이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와 대화하고 있다. 르메트르는 우주가 계속 팽창하고 있으며 시간의 기원이 있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제시했다. 책과함께 제공
아인슈타인(왼쪽)이 벨기에 가톨릭 사제이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와 대화하고 있다. 르메트르는 우주가 계속 팽창하고 있으며 시간의 기원이 있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제시했다.
책과함께 제공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과학과 종교 모두 ‘인간’이라는 중첩된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저자는 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는 수많은 과학과 종교의 충돌 사례는 침소봉대되고 왜곡된 것이라고 지적한다. 갈릴레이가 종교재판에서 처벌받은 것은 지동설을 주장했기 때문이 아니라 논쟁을 좋아하는 다혈질 성격 탓에 토론 중에 교황을 모욕했기 때문이란다. 그에 앞서 코페르니쿠스가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라는 책을 출간해 지동설을 주장했던 1543년이 ‘과학혁명의 시작’으로 인식된 것도 프로이트가 과학이 종교에 박해받은 첫 번째 사례로 지동설을 들며 ‘혁명’이라고 주장하면서부터라고 말한다. 사실 이런 주장은 자기의 정신분석학이 폄하당하는 것을 반박하기 위해 만든 논리였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그리스도교 군중이 이교도 여성 수학자 히파티아를 처형하려고 끌고 가는 모습. 계몽주의 시대에 히파티아는 과학과 종교의 충돌에 희생당한 초기 순교자로 여겨졌다. 책과함께 제공
그리스도교 군중이 이교도 여성 수학자 히파티아를 처형하려고 끌고 가는 모습. 계몽주의 시대에 히파티아는 과학과 종교의 충돌에 희생당한 초기 순교자로 여겨졌다.
책과함께 제공
암흑시대로 알려진 중세와 근대 초기까지도 신학과 많은 그리스도교인의 보호와 연구 덕분에 과학이 지금처럼 발전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독실한 신앙인이었던 영국의 프랜시스 베이컨이 귀납법을 체계화하면서 과학이 발달할 수 있었다는 식이다. 또 과학혁명 시기에 많은 과학실험이 가톨릭 신자들에 의해 기획되고 진행됐다는 점, 근대과학의 아버지 뉴턴, 전자기학의 아버지 패러데이, 맥스웰 같은 위대한 과학자들도 신앙을 버리지 않았던 일 등을 과학과 종교의 조화 사례로 들고 있다.

종교학자로서 저자가 과학사의 수많은 사례를 흥미 있게 재해석했다는 점은 인정한다. 그렇지만 한때 과학을 공부했던 사람의 시선으로 본다면 저자가 자신의 주장을 밀어붙이기 위해 논리의 비약을 한 것도 많이 눈에 띈다.

어쨌든 저자의 말처럼 종교와 과학은 앞으로도 대화하든지 충돌을 하든지 간에 만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화를 통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 서로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자세가 전제돼야 한다. 과연 한국 사회의 종교인들은 과학과 대화할 준비가 얼마나 돼 있는지 의문이다.
2024-04-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