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금융을 지배한 ‘킹 달러’, 비트코인·유로화 도전 넘을까

전세계 금융을 지배한 ‘킹 달러’, 비트코인·유로화 도전 넘을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11-17 00:02
수정 2023-11-17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달러의 힘/김동기 지음/해냄/656쪽/3만 3000원

신성로마제국 은화 ‘탈러’서 유래
美독립전쟁 이후 새 화폐제 도입
첫 통용 지폐는 링컨 때의 ‘그린백’

2차대전 이후 글로벌 기축통화로
1997년 금융위기 당시 위력 실감
최근엔 정치경제적 무기로 부상

이미지 확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지난해 12월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 EPA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지난해 12월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 EPA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8주마다 기준금리를 발표할 때면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한 나라의 금리 변동에 이처럼 신경 쓰는 이유는 ‘달러’라는 기축통화 때문이다.

2021년 기준 세계 외환보유액 비중에서 달러는 60%를 차지한다. 유로가 21%, 엔화가 6%, 파운드가 5%, 런민비(인민폐)가 2%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그 힘을 짐작할 수 있다. 미 정부는 달러 결제를 차단하는 식으로 기업은 물론 자국에 대항하는 나라에 제재를 가한다. 그야말로 ‘킹 달러’의 시대다.

책은 식민지 시절 미국이 달러를 통해 영국의 지배에서 어떻게 벗어나고 나아가 전 세계 경제 패권을 어떻게 쥐었는지 그리고 지금은 어떤 힘을 발휘하는지를 살핀다.

‘달러’는 신성로마제국에서 주조한 각종 은화를 ‘탈러’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 영국 식민지 시대 미국에서 스페인 은화인 ‘스페인달러’가 대량 유통됐고 여기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미지 확대
신간 ‘달러의 힘’은 미국 독립 후 새로운 화폐제도를 고안해 10달러의 모델이 된 알렉산더 해밀턴(왼쪽)을 비롯해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끈 ‘그린백’을 발행한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등 300여년에 걸친 달러의 역사와 공로자들을 훑는다. 해냄·위키피디아 제공
신간 ‘달러의 힘’은 미국 독립 후 새로운 화폐제도를 고안해 10달러의 모델이 된 알렉산더 해밀턴(왼쪽)을 비롯해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끈 ‘그린백’을 발행한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등 300여년에 걸친 달러의 역사와 공로자들을 훑는다.
해냄·위키피디아 제공
미국은 식민지 시절 화폐 주권을 가지려 부단히 노력했고, 이는 독립전쟁으로 이어진다. 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은 강력한 연방정부를 건설할 헌법을 만들고 새로운 화폐 제도를 도입한다. 10달러 지폐 모델인 알렉산더 해밀턴이 이를 이끈 주인공이다.

미국에서 처음 통용된 달러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그린백’이었다. 뒷면이 녹색이라 이런 이름이 붙었는데, ‘링컨 달러’라고도 한다. 병사 월급 지급과 군수품 구입에 그린백을 사용하면서 북부 경제에 활력이 돌았고, 전비도 무난히 조달하면서 남북전쟁에서 승기를 잡는다.

달러는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전 세계 기축통화로 자리한다. 전후 세계 경제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1944년 7월 1일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턴우즈에 있는 마운트 워싱턴 호텔에서 회의가 열린다. 협정문 초안에 ‘금과 교환 가능한 통화 단위’라는 문구가 삽입됐다. 두 차례 세계대전으로 호황을 맞은 미국은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였다. 달러는 이에 힘입어 금과 동일한 위상을 갖게 됐다. 달러가 세계 통화의 왕좌에 등극한 일대 사건이었다.
이미지 확대
이후부터는 달러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 단순한 통화로서 위상을 넘어 이제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1997년 동아시아 금융위기는 우리가 달러의 힘을 제대로 경험한 때이기도 하다. 당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고 세계 경제 10위 진입을 노리던 한국은 달러 보유 부족으로 ‘제2의 국난’을 겪어야 했다. 1996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804원이었으나 1997년 12월에는 무려 1964원으로 치솟았다. 미국은 국제통화기금(IMF)을 앞세워 한국에 여러 변화를 요구했고, 우리는 비싼 대가를 치렀다.

2008년 터진 미국발 전 세계 금융위기도 이런 사례다. 미국의 과도한 특권이 빚어낸 참극이었지만 반대로 연준의 힘을 보여 준 사건이기도 했다.

책은 달러의 300년 역사를 미국사와 적절히 배합했다. 600쪽 넘는 분량이지만 사례를 중심으로 풀어내 술술 책장을 넘길 수 있다.

최근 미국은 달러를 무기화해 정치적, 경제적 우위를 차지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2008년 등장한 비트코인, 유로화를 필두로 한 유럽의 공세, 중국과 러시아 중심의 대항 세력들의 도전도 만만치 않다. 여기에 맞서 달러가 앞으로 왕좌를 지켜 낼 수 있을지 지난 300년을 돌아보며 예측해 보는 일도 흥미롭겠다.
2023-11-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