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의 힘… 미식의 나라를 만들다

스토리텔링의 힘… 미식의 나라를 만들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23-11-17 00:02
수정 2023-11-17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랑스의 음식문화사/마리안 테벤 지음/전경훈 옮김/니케북스/580쪽/3만 2000원

이미지 확대
프랑스 음식은 흔히 ‘미식’(美食)의 정수로 통한다. 유네스코는 2010년 ‘프랑스 미식’(가스트로노미)을 인류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며 세계 최고의 반열에 올렸다.

신간 ‘프랑스의 음식문화사’는 조상인 골족과 프랑크족의 갈리아 시대부터 중세와 르네상스, 앙시앵레짐(절대왕정기), 프랑스 혁명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인들이 먹고 마시며 찬양해 온 ‘맛의 역사’를 집대성한 인문서다.

골족과 프랑크족은 로마제국 시절부터 잘 먹기로 소문난 사람들이었다. 중세에는 교회의 영향으로 고기 소비가 엄격히 제한되면서 ‘빵의 시대’가 도래했다. 식단의 중심이 된 빵은 중세 시대부터 그 명칭과 종류, 중량이 세세하게 정해졌다.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로 쌓아 올린 진수성찬과 화려한 궁정 연회가 열린 절대왕정기는 프랑스 미식의 혁신기로 꼽힌다. 17세기 인쇄본으로 쏟아져 나온 수많은 요리책은 프랑스 요리의 규칙과 기술을 기록하는 동시에 미식의 확산을 이끌었다. 샴페인으로 알려진 발포성 와인이 프랑스적 음료로 탄생한 것도 이 시기였다.

1789년 프랑스대혁명 이후 일자리를 잃은 궁정 요리사들이 파리의 거리로 나와 최초의 레스토랑을 열었다. 레스토랑의 탄생으로 왕과 귀족의 밥상이 대중화됐고, ‘오트 퀴진’(고급 요리)은 오늘날 전 세계 국가 만찬의 표준이 됐다.

프랑스 요리는 과연 뛰어난 맛으로 세계를 지배하게 된 것일까. 저자는 다르게 본다. 맛이 명성에 부합해서가 아니라 프랑스인들이 자국의 음식 이야기를 전하는 데 탁월한 이야기꾼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프랑스 음식 문화의 키워드로 ‘사부아르페르’(savoir-faire)를 지목한다. 수완 혹은 기량을 뜻하는 프랑스어 사부아르페르는 훌륭한 먹거리를 키우고 요리한 미식을 프랑스적인 것으로 홍보하는 예술적 노하우다.

이 점에서 음식은 프랑스를 정의하는 국가적 정체성이자 프랑스 공동체의 삶을 가장 잘 설명하는 현상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2023-11-1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