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이그림] 겸재의 ‘어초문답’

[아하!이그림] 겸재의 ‘어초문답’

윤창수 기자
입력 2007-05-15 00:00
수정 2007-05-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서울 성북구 성북초등학교 바로 옆에 있는 간송미술관(02-762-0442)은 일년에 딱 두번 전시회를 엽니다.

매년 5,10월에 2주씩 소장문화재를 전시하고, 나머지 날에는 한국미술을 연구하는 곳입니다. 지난해 이맘때 열린 봄 특별전에는 10만여명에 이르는 구름떼 관람객이 몰렸다고 하는데, 고운 여름한복을 입은 최완수 연구실장은 “세어보지 않아 모르겠다.”고 하더군요.

13~27일 열리는 72회 이번 봄 정기전은 ‘우암 송시열 탄신 400주년 기념 서화전’입니다. 하지만 100점의 전시작품 중 우암의 것은 글씨 단 한 점입니다.

전시회 하이라이트는 겸재 정선의 그림 31점입니다. 진경산수화를 완성한 겸재의 정신적 뿌리에는 우암 송시열의 조선성리학 이념이 있었다는 것이 간송미술관측의 설명입니다.

이미지 확대
겸재 ‘어초문답’
겸재 ‘어초문답’
그럼 진경산수화가 과연 이전의 조선 그림과 어떻게 다른지 한번 볼까요. 나라에서 설치해 화가를 양성하고 회화를 관장했던 화원에서 활동한 이명욱의 ‘어초문답(사진 왼쪽)’은 중국 그림을 그대로 베낀 것입니다. 같은 중국 그림을 베껴서 비슷한 조선의 그림이 여럿 있지요. 어부와 나무꾼이 묻고 대답한다는 뜻의 ‘어초문답’에서 성리학의 뜻이 허다하게 밝혀져 동양화의 낭만적 소재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겸재의 ‘어초문답(오른쪽)’은 중국 그림을 베낀 것이 아니라 주변의 조선 사람 얼굴을 그리고 있습니다. 중국 나무꾼과 달리 조선의 나무꾼은 나뭇짐을 한짐 다 해놓고 한가로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중국 어부는 고기를 꿰서 주렁주렁 들고 가는데, 조선의 어부는 망태까지 갖추었습니다. 나무와 시냇가도 눈에 익은 풍경이라 겸재가 흔하게 보던 조선 산수를 그림 속에 담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최완수 실장은 “역관이 겸재의 집 앞에 줄을 설 정도로 그의 그림은 중국에서 고가에 팔렸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동양화의 정수를 뽑아 진경산수화를 완성한 겸재의 그림에 명나라 사람이 환장했을 정도로 그는 ‘국제적 화가’란 것이 최완수 실장의 평가입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07-05-15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