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요리사’ 훔쳐보더니 “한국이 중국 음식 훔친다”…中네티즌 황당 주장

‘흑백요리사’ 훔쳐보더니 “한국이 중국 음식 훔친다”…中네티즌 황당 주장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10-06 17:35
수정 2024-10-06 1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학민 PD가 11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에서 열린 넷플릭스 예능 ‘요리 계급 전쟁 흑백요리사’ 제작발표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4.9.11 연합뉴스
김학민 PD가 11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에서 열린 넷플릭스 예능 ‘요리 계급 전쟁 흑백요리사’ 제작발표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4.9.11 연합뉴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흑백요리사:요리 계급 전쟁’(이하 흑백요리사)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일부 중국인들이 “한국이 중국 음식을 훔쳐간다”는 주장을 펼쳤다.

6일 넷플릭스 등에 따르면 ‘흑백요리사’는 지난 9월 17일 공개 이후 2주 연속 넷플릭스 글로벌 TOP 10 TV(비영어)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또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490만 시청수(시청 시간을 작품의 총 러닝 타임으로 나눈 값)를 기록, 비영어권 TV 시리즈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 4개국 1위를 포함해 총 28개국 TOP 10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흑백요리사는 재야의 고수 ‘흑수저’ 셰프들이 대한민국 최고의 스타 셰프 ‘백수저’들에게 도전하는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한국의 전통 식자재와 조리법 등을 맛깔나게 요리해내는 모습에 국내외로 호평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런데 일부 중국인들이 흑백요리사에 나온 요리를 두고 “자신들의 음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넷플릭스를 볼 수 없지만 흑백요리사가 인기를 끌자 불법 다운로드 등을 통해 시청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백수저’ 정지선 셰프가 선보인 중식 ‘바쓰’를 토대로 한 ‘시래기 바쓰 흑초 강정’ 요리를 언급했다. ‘바쓰’는 중국어로 ‘실을 뽑다’라는 의미로 설탕, 엿, 꿀을 가열해 졸이고 식혀 완성하는 조리법이다. 정 셰프는 이 요리를 선보이며 작품 같은 설탕 공예를 보여줘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그러나 이를 본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중국 소셜미디어(SNS) ‘도우인’ 등에 “한국이 중국 음식을 훔쳐가려 한다”, “한국이 저걸 한식이라 주장할 것이다”, “한국이 훔치지 못하게 해야 한다” 등 주장을 제기했다. 바쓰가 엄연히 중국 음식으로 소개됐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중국 문화를 훔쳐간다’는 억지 프레임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또 심사위원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에 대해 “대도둑”이라고 비난하며 백씨가 과거 중국 요리를 소개한 방송도 악의적으로 짜깁기해 왜곡하기도 했다.

중국이 동북공정을 통해 자신들의 역사라고 우기고 있는 고구려도 흑백요리사에서 한국의 역사로 소개되자 이를 지적하는 글도 있었다.

한편 중국은 오랜 시간 김치, 삼계탕 등 한국의 전통 음식을 중국의 것이라는 억지 주장을 펼쳐 왔다.

최근에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식 돌솥비빔밥이 3년 전 중국 북동부 지린성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돌솥비빔밥은 현재 우리의 국가무형유산으로는 등재돼 있지 않은 상태다. 전주비빔밥이 2008년 전북의 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을 뿐이다.

해당 사실이 알려진 뒤 정부는 “역사 문제가 우리 정체성과 관련된 중요한 사안이라는 인식 아래 중국 측의 역사 왜곡 시도에 대해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면서 “이번 지린성의 조치를 포함해 우리 문화 정체성과 관련된 사안이 양국 국민 간 우호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중국 측에도 필요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