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군 출신 5번째 대통령 배출…군사 독재정권 우려도
이집트 대선에서 군 최고 실세 압델 파타 엘시시(60) 국방장관의 당선이 확정되면서 군부 세력이 또다시 이집트 정치 전면에 등장하게 됐다.엘시시의 대통령 등극은 이집트에서 가장 강력한 기득권 집단인 군부의 재집권으로 해석된다.
이집트는 엘시시 집권으로 1952년 공화국 체제 출범 이후 5번째 군 출신 대통령을 배출하게 됐다. 군부가 핵심 권력을 거머쥔 지난 60년간의 정치구도로 복귀하는 것이다.
군부의 이익을 수호할 권위주의적 지도자가 다시 등극하게 됐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왕정에서 공화국으로 바뀌고 나서 이집트의 역대 정식 대통령 6명 가운데 5명이 군 출신이다.
장군 출신의 초대 대통령인 무함마드 나기브(1953~1954 집권)를 시작으로 가말 압델 나세르(1956~1970 집권), 안와르 사다트(1970~1981 집권), 호스니 무바라크(1981~2011 집권)가 차례로 권력을 이어받았다.
이집트의 첫 자유민주 선거로 선출돼 집권 1년만에 쫓겨난 무슬림형제단의 무함마드 무르시(2012~2013 집권)가 유일한 민간 출신 대통령이다.
지난해 7월 무르시 정권 축출을 주도한 엘시시는 대선 직전 전역했지만, 그 전후로도 막후에서 군부와 과도정부를 지휘해 온 것으로 의심을 받아 왔다.
이집트는 2011년 시민혁명을 통해 무바라크 정권을 퇴진시킨 이래로 끊임없는 정정불안에 시달렸다.
이런 상황에서 군 최고 실세인 엘시시는 지지파 사이에서 국정을 다시 안정시킬 강력한 지도자이자 ‘구원자’로 여겨진다.
엘시시의 최대 저항 세력이자 무르시의 권력기반인 무슬림형제단은 이미 군부가 주도하는 과도정부의 무력 진압과 사법적 처벌 등으로 사실상 무력화된 상태다.
이집트 군부의 영향력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다.
현직 군인과 군 출신 인사들은 주요 정부기관과 공기업 요직을 차지하고 있고 호텔과 주유소, 건설, 의료, 생수 등 거의 모든 분야에 진출했다.
장군 출신인 무바라크 집권 시절에는 이집트 군산 복합체가 전례 없이 번창했다.
일각에서는 군부가 전체 산업에서 최대 40%를 장악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지만, 현지 경제 전문가는 군이 차지하는 산업 비중이 20~30% 수준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집트군 대변인은 이러한 추정에 “산업 비중이 2%도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군 간부들은 이집트 전역 곳곳에 자신들만이 출입할 수 있는 아파트와 클럽, 학교, 상점, 병원도 갖고 있다. 군부가 독자적인 제조업체들과 방대한 건설 사업체를 보유하기도 한다.
절대적인 권력을 자랑하는 군부지만 동시에 국민에게서 강력한 지지를 받는점도 주목할 만하다.
무바라크 집권 당시 그의 든든한 지원자 역할을 한 군부는 무바라크가 축출될 위기에 처하자 등을 돌리고 무르시에 대항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일었을 때는 그의 축출을 주도하는 등 위기 때마다 노련하고 신속한 대응으로 이를 모면해 왔다.
엘시시는 당시 쿠데타가 아니란 점을 보여주고자 TV에 출연해 종교지도자, 야권 정치인 등과 함께 무르시 축출을 공개 발표하는 노련한 정치력도 선보였다.
엘시시는 이집트군 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과 영국에서 군사교육을 받았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무관을 지낸 적이 있다. 미국과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한때 미국통으로 꼽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