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득 국가보훈처장
이 한마디가 계속해서 귓가를 맴돌고 있다. 지난 8월부터 전국의 보훈 현장을 다니고 보훈가족들을 만나면서 나의 기억에서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말이다. 보훈행정을 총괄하는 보훈처장으로서 이 따끔한 한마디에 담긴 의미를 곱씹을수록 부끄러움이 커진다.
모 지방 보훈단체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유독 한 분이 자리가 끝날 때까지 굳게 입을 다물고 있어 그 이유를 물으니 나온 말이다. 지난 10년간 보훈처장과 만나는 자리가 수차례 있었지만 자신의 요구에도 돌아오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보훈은 다양한 성과를 냈다. 국가유공자에 대한 국민의 존경심을 높이기 위해 지금까지 14만여명의 국가유공자 집에 ‘국가유공자 명패’를 달아 드렸다. 생활이 어려운 독립유공자 후손을 위한 ‘생활지원금’ 신설을 비롯해 지난해와 올해에만 1002명의 독립유공자를 발굴·포상했다. 특히 전체 여성 포상자 472명 중 38%에 달하는 177명이 현 정부 들어 포상됐다. 참전유공자 진료비 감면을 13년 만에 60%에서 90%로 대폭 확대했고, 역대 정부 최초로 국가유공자 사망 시 영구용 태극기와 대통령 명의 근조기를 증정하고 있다. ‘생전 국립묘지안장심사제도’ 신설 역시 유족분들의 오랜 불편을 해소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28민주운동과 3·8민주의거의 국가기념일 격상, 7년 만의 4·19혁명 유공자 발굴·포상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성과다. 이 밖에도 다양한 노력과 성과가 있었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도는 아직 이에 못 미치는 것 같다.
보훈가족들과의 만남은 국가보훈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지금까지의 성과와 함께 보훈정책에 대한 보훈 대상자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 고민과 실천이 필요할 때다. 보훈가족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이를 통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소통을 통한 정책 연구개발에 더욱 많은 노력을 기울일 생각이다.
현장의 목소리에서는 ‘여전히 보훈에 대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국가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를 우리 보훈가족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보훈정책 혁신과 추진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자 한다. 행사장을 찾았을 때 누구보다 반갑게 환대해 주는 보훈가족들의 모습을 생각하며, 한 보훈단체장의 침묵(沈默)을 가슴 깊이 새기는 무거운 책임감으로 말이다.
2019-11-19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