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월 10만 2299가구 54% 하락
인허가도 30% 떨어져 공급 차질
정부 “금융·거시당국과 본격 협의”
올해 1~7월 전국의 주택 착공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반토막 나고 인허가는 30% 줄면서 주택 공급 시장에 빨간불이 켜졌다. 2~3년 뒤엔 주택 수급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만 7278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9% 줄었다. 아파트가 17만 8209가구로 24.9%, 아파트 외 주택이 2만 9069가구로 50.3% 줄어들었다. 같은 시기 착공 물량은 10만 2299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4.1% 줄었다. 수도권은 5만 3968가구로 53.7%, 지방은 4만 8331가구로 54.6% 감소했다. 다만 올해 1~7월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1만 8618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증가했다. 부동산 활황기에 착공한 물량이 완공되면서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주택은 착공 이후 2~3년 뒤, 인허가 이후 3~5년 뒤 공급된다. 당장은 준공 물량이 공급을 버텨 주지만, 준공 물량이 소화된 뒤부터는 주택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반토막 난 착공 물량에 30% 가까이 줄어든 인허가 물량이 더해지면 2~3년 뒤엔 주택 공급 대란 가능성이 커진다.
정부는 최근 주택 공급 위축을 ‘초기 비상상황’으로 진단했다. 지난 29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9개월 만에 주택공급혁신위원회 회의를 열고 “금리 상황과 비용 상승, 분양 수요 위축 문제가 쌓이면서 전체적으로 공급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고 말한 이유다. 원 장관은 “전반적인 공급 경색으로 가지 않도록 금융·공급 부분을 들여다보고 금융당국, 거시당국과 본격적으로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5개월째 감소세다. 7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6만 3087가구로 전월 대비 5.0%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이 8834가구로 16.3%, 지방 미분양이 5만 4253가구로 2.8% 감소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9041가구로 전월보다 3.8% 줄었다.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의 감소 전환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회복세에 들어서며 미분양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분양 물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한 점도 미분양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2023-09-0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