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5명 안팎 예상… 눈치싸움 한창
당선인과 ‘정치적 코드’도 고려
국·과장급 속내 “후배 안 갔으면”
9일 정부와 정치권에 따르면 인수위 출범은 2013년 1월 ‘박근혜 인수위’ 이후 9년 만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대통령 탄핵에 따른 보궐선거로 당선되면서 인수위 없이 임기를 시작했습니다. 인수위는 통상 대선일로부터 2~3주 사이에 출범합니다. 위원장·부위원장 아래 교수와 정치인 등 전문가로 구성된 분과별 인수위원단이 24명 이내로 임명됩니다. 여기에 각 정부 부처 공무원들이 전문위원 등으로 파견돼 대통령 당선인에게 현안을 보고합니다. 인수위 총인원은 박근혜 정부 150명, 이명박 정부 183명, 노무현 정부 246명, 김대중 정부 208명이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내부적으로 인수위에 파견될 후보 직원을 선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최종 파견자는 국장·과장급 5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인수위 당시 기재부는 홍남기 정책조정국장, 은성수 국제금융정책국장, 이억원 종합정책과장을 인수위로 보냈습니다. 이들은 각각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금융위원장, 기재부 1차관으로 승진하며 승승장구했습니다.
인수위 파견 공무원을 선정할 때는 출신 지역을 비롯해 대통령 당선인과의 ‘정치적 코드’도 일부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선인의 국정 철학에 대한 불편함이 없어야 정책 협조가 더 잘 이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박근혜 정부 인수위에 합류한 국장급 전문위원 28명 가운데 7명(25%)이 박 전 대통령과 동향인 대구·경북 출신이었습니다.
정부의 국·과장급 공무원들은 겉으로 드러내진 않지만 대부분 “후배가 인수위에 안 갔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품고 있다고 합니다. 후배가 인수위에 이어 청와대 근무까지 하고 돌아오면 승진에서 자신을 앞지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인수위 경력이 승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방증입니다. 공무원에게 인수위란 한마디로 ‘초고속 승진 열차’인 셈입니다.
2022-03-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