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中비중 60%, 의류·화장품 규제 가능성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 삼성전자 등 19개 기업을 초청해 마련한 백악관 반도체 화상회의에서 웨이퍼를 직접 들어 보이며 반도체 공급망 자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10월 中 반도체 수출 4조 3000억 ‘역대 최대’
3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은 역대 최대인 36억 7000만 달러(약 4조 3000억원)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41.5% 늘었다. 올해 1~10월 누적액도 390억 달러로 지난해 전체 대중 반도체 수출량(399억 달러)에 근접했다. 한국의 반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0% 정도다. 홍콩 물량까지 더해지면 60%까지 올라간다. 전체 대중국 수출 규모는 1300억 달러로 우리의 1위 교역국이다. 이같이 높은 대중 의존도로 인해 한국은 미중 갈등이 심화할수록 타격이 불가피하다.
다만 중국이 당장 한국 반도체 기업에 보복하긴 어렵다. 세계 메모리 시장 1, 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D램 점유율은 70%에 달한다. 낸드플래시도 50%를 넘는다. 중국이 한국산 반도체 수입을 막으면 자국 기업들이 D램과 낸드플래시를 구할 수 없어 더 큰 피해를 본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트는 “중국은 여러 제조업 분야에서 한국을 턱밑까지 따라잡았다. 그러나 한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지 못한 유일한 부분이 반도체”라고 설명했다.
●물품 하나씩 차단하는 ‘호주식 타격’ 우려
이 때문에 중국이 반도체 경쟁력을 확보할 때까지 ‘호주식 타격’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호주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책임을 두고 중국과 공방을 벌인 뒤 농산물과 해산물, 석탄 등 대중 수출이 가로막혔다. 다른 나라에서 대체 가능한 품목들이다. 한국에 대해서도 의류나 화장품 등 ‘꼭 안 사도 되는 물건’을 규제하면서 압박 강도를 높여 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중국은 2016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결정 뒤 비공식적으로 ‘한한령’(한류제한령)을 내려 한국산 문화 콘텐츠 수입을 막았다.
2021-11-0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