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자원대국 이란으로’…글로벌 車업계 대격전

‘가자 자원대국 이란으로’…글로벌 車업계 대격전

입력 2016-01-27 10:45
수정 2016-01-27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기아·다임러·푸조·닛산, 이란 진출 잰걸음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경제 제재가 풀린 이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올해 본격적인 공략에 나선다.

신흥시장 불황으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인구 8천만명의 이란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제재로 신차 수요가 막대하다는 점에서 올해 최대 관심을 끄는 신흥 시장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다임러, 르노, 푸조-시트로앵, 닛산, 스즈키 등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은 일제히 이란과 현지 파트너십 재개 및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이란 제재가 이뤄지기 이전 직접 수출 및 현지 업체와의 제휴를 통한 반조립제품 수출(KD) 형태 등을 활용해 이란으로 자동차를 수출했다.

현대차는 2009년 2만500여대, 2010년 2만3천200여대, 2011년 1만4천500여대 등 이란 제재로 2012년 수출을 전면 중단하기 전까지 연간 2만여대의 차량을 이란으로 수출했다. 이 중 절반이 현지업체인 알브이엠코와 협력 관계를 맺고 진행한 KD 형태의 수출이었다.

기아차 역시 2009년 2만1천여대, 2010년 2만6천여대, 2011년 2만2천대를 이란으로 수출했다. 기아차의 이란 수출은 KD 수출 비중이 높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아차는 1993년부터 이란의 국영 자동차 업체인 사이파와 협력 관계를 맺고 KD 수출에 주력해 이란 수출의 70~80%를 KD가 차지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이란 제재가 풀림에 따라 진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 중이다.

독일 다임러는 이란 경제제재 해제 후 글로벌 자동차업체로는 처음으로 이란 현지 업체들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공식 발표했다.

다임러는 이란 코드로이란의 상용차부문 IKD 등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IKD는 다임러와 지난 50여년 간 파트너십을 유지해왔으며 제재 기간에도 메르세데스-벤츠의 대형트럭을 생산한 바 있다.

프랑스 업체인 르노와 푸조-시트로엥은 기존 현지 파트너들과 비공식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

푸조 -시트로엥은 경제제재 및 GM과의 지분 관계 때문에 코드로이란과 현지 생산, 기술 및 라이센스 파트너십을 갑자기 종료해 이란 현지에서 비난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푸조-시트로엥은 최근 코드로이란과 현지 합작회사 설립을 비롯해 시트로앵 차량을 생산했던 사이파와 파트너십 재개를 추진 중이다.

르노는 현지에서 자사 차량을 생산 중인 코드로이란과 사이파의 자회사 파르스 코드로와 추가 생산 계약을 통해 파트너십 확대를 검토 중이다.

일본업체들도 이란 경제제재 해제를 활용해 수익 확대를 노리고 있다.

닛산은 르노의 현지 파트너인 파르스 코드로와 협력했으며 지난 2013년 중단 이후 처음으로 이란에 조립부품 운반재개를 검토하고 있다. 스즈키의 경우 제재 기간에도 이란업체들과 파트너십을 유지했으며 코드로이란은 스즈키 모델의 현지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란 자동차업체 바흐만 모터는 일본 이스즈 상용모델을 생산 중이며 1950년대부터 마쓰다와 협력 중이다. 마쓰다는 2013년 이란에 부품공급을 중단했으나 2015년 4월부터 재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