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운주사 천불천탑’ 논쟁/‘몽골의 문화영향’ 재조명 계기될까

불붙은 ‘운주사 천불천탑’ 논쟁/‘몽골의 문화영향’ 재조명 계기될까

입력 2004-01-07 00:00
수정 2004-01-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서울신문이 새해 들어 연재를 시작한 소설가 정동주씨의 역사문화 에세이 ‘달빛의 역사 문화의 새벽’이 뜨거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시리즈의 첫번째 주제인 ‘운주사 천불천탑-신비에 대한 오해와 몽골문화’가 지난 3일과 5일 나뉘어 실린 것이 곧바로 도화선이 됐다.

정동주씨가 이 글에서 “운주사 천불천탑은 몽골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몽골군의 삼별초를 진압한 전승기념물이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하자,서울신문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는 “민족문화에 대한 음해”라면서 강력히 반발하는 글이 줄지어 올라왔다.

운주사 천불천탑이 몽골문화와 연관이 있다는 지적은 충격적으로 들리지만,결코 새로운 것은 아니다.미술사학자인 소재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의 ‘운주사 탑상의 조성불사’라는 논문은 이런 주장의 뿌리에 해당한다.2001년 ‘동원학술전국대회’에서 발표됐을 때도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소 연구관은 논문에서 “운주사 탑과 불상은 스타일이 일률적이어서,고려왕조의 힘이 미약했던 원 침략기에 수많은 석공이 동원되어 단기간에 완성한 것”이라면서 “그러나 정통 불교문화를 충분히 인식한 고려시대 지식인의 수준으로는 이처럼 수많은 불탑과 불상을 한꺼번에 조성할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하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운주사 불사(佛事)는 원의 군부가 주도하고 막대한 고려의 물자와 석공인력이 동원되었을 것”이라면서 “멀리 타국에 나와 있는 원병(元兵)들의 무운을 빌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그는 특히 “고려석공들은 라마불탑에 익숙지 않았으므로 대부분을 토속적인 고려식으로 조성했고,생소한 원반형탑이나 난형탑(卵形塔)들은 라마탑의 시험적 작품일 것”이라면서 “◇형과 X형 등 전혀 고려탑에서 볼 수 없는 무늬들은 몽골식 도안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렇게 볼 때 정동주씨의 주장은 곧 소연구관이 제기한 문제를 발전시키고,몽골 현지를 찾아가 증거들을 직접 수집한 결과를 스스로 밝힌 대로 세상에 “보고한 것일 뿐”이다.

불교학자인 허일범 진각대 교수도 다른 방향에서 운주사 천불천탑과 몽골의 관련 가능성을 언급했다.그는 “밀교교설에 입각한 다면다방불(多面多方佛)은 티베트 불상의 특징을 계승한 것”이라면서 “운주사 석조감실안에 있는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불의 합체불은 티베트나 몽골 등지에서는 흔히 발견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려는 40여년의 대몽(對蒙)항쟁기간과 한 세기에 걸친 정치적 간섭기를 거쳤다.원의 간섭은 고려시대와 그 이후의 정치·사회·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고,그들이 신봉한 라마불교도 일정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었다.최근 출간된 ‘불교조각 Ⅰ·Ⅱ’(강우방 이화여대교수 등 3인 공저, 솔 펴냄)에는 ‘화려한 장엄,라마 불교의 영향’을 하나의 주제로 삼아 취급하고 있다. 미술사학자인 최성은 덕성여대 교수는 특히 국립춘천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금강산 출토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아예 “원에서 직접 가져왔을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을 ‘한국미술사’(예술원 펴냄)에서 내놓았다.

나아가 고려에 유입된 라마 양식의 불상은 이국적 풍모에 장식성이 강한 양식을 형성하여 조선 초까지 크게 유행했다.이런 왕실불상의분위기는 퇴화하기는 했어도 조선 중기까지는 명맥을 유지한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소 연구관은 “운주사의 불탑과 불상이 자력불사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해도,몇몇 이국적 디자인을 제외하고는 고려시대 선조들이 이룩한 토착적 석공예술을 유감없이 보여준다.”고 강조했다.나아가 ‘달빛의 역사…’은 명백히 실재(實在)했지만 규명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던 ‘몽골의 문화적 영향’을 부각시켜 세상의 관심을 갖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몽골의 영향이 있으면 있는 대로,우리 고유의 미의식이 담겼으면 담긴 대로,사실 그대로 밝히는 것이 숨기는 것보다 훨씬 더 우리 문화사를 풍요롭게 하는 노력이 아니겠느냐.”는 한 독자의 지적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서동철기자 dcsuh@

史料로 본 천불천탑

운주사(雲住寺)는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에 있다.남북으로 길게 벋은 협곡에 이른바 천불천탑이 자리하고 있다.운주사의 인터넷 홈페이지는 현재 석탑 17기와 석불 80여구가 남아있다고 적고 있다.

운주사 천불천탑에 관한 가장 오랜 기록은 조선 성종 12년(1481년) 편찬하고 중종 25년(1530년) 증보한 ‘동국여지승람’이다.영조 19년(1743년) 발간된 ‘조선사찰사료’의 ‘도선국사실록’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도 남아 있다.

“우리나라 지형은 떠가는 배와 같으니 태백산,금강산은 머리이고 월출산과 영주산(한라산)은 꼬리이다.변산은 키이며,지리산은 삿대이고,운주는 그 뱃구레이다.뱃구레를 눌러주어야 솟구쳐 엎어지는 것을 면한다.이에 절과 탑,불상을 세워 진압하게 됐다.”

이와 함께 천불천탑은 도선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만들어냈다는 전설도 이 지역에는 전해진다.그러나 미술사학자들은 천불천탑이 도선국사가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신라말이 아니라 13세기를 전후한 고려 중기의 특색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명한다.특히 양식은 30년 이상의 시차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어떤 큰 힘에 의하여 일거에 만들어지지 않았겠느냐고 추측해 왔다.최완수 간송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은 ‘명찰순례’(대원사 펴냄)에서 이를 신불(神佛)의 힘을 빌려 몽골군을 격퇴하고자 조성한 호국도량으로해석했다.

하룻밤 창건설을 논외로 한다면,소설가 정동주씨가 ‘달빛의 역사,문화의 새벽’에서 새로 펼쳐 놓은 ‘몽골의 전승기념물’이라는 주장과 최완수 연구실장의 ‘고려의 호국사찰’이라는 학설은 조성의 주체만 다를 뿐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진실이 어떤 쪽이든,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이 완전히 밝혀지는 날이 성큼 우리 앞으로 다가온 것만은 분명하다.

서동철기자
2004-01-07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