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원 장승업에서 심산 노수현까지 근대회화 100점 100色

오원 장승업에서 심산 노수현까지 근대회화 100점 100色

입력 2003-05-20 00:00
수정 2003-05-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근대회화 명품전’이라는 이름으로 마련된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의 올 봄 전시에는 오원 장승업(1843∼1897)에서 심산 노수현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작품이 나와 있다.이번 전시의 핵심어는 ‘근대’이다.그런 만큼 그 개념부터 분명히 해두어야 작품들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

지난 66년부터 간송미술관을 지키며 전시를 주관해온 최완수(61) 연구실장은 근대의 시발점을 추사 김정희(1786∼1856)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때는 조선왕조의 이념적 기반이던 성리학이 노쇠하고 고증학이라는 새로운 이념이 발흥하던 시기.고증학이 백과사전적인 방대한 지식을 전제로 하는 학문인 만큼 고증학에 뿌리를 둔 추사체는 ‘총체적인 추상미’를 추구했다.

이전 시대를 주도했던 진경풍의 서화를 부정,극복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그러나 고답적인 추사체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때문에 추사의 제자들조차 중국풍의 서화를 임모(臨摸)하는데 그치는 일이 많았다.

최 실장에 따르면 추사의 풍은 직제자인 흥선대원군 이하응이나 고람(古藍)전기 등에게만 그대로 전해졌을 뿐, 그 다음 대인 오원 장승업에 이르러서는 대중과 타협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당시 대중화된 서화 감상층은 이런 오원풍의 그림을 훨씬 더 좋아했다.최 실장은 “오원을 사실상 근대 회화의 시조로 보아야 한다.”고 밝힌다.“오원에서부터 그림이 대중화,다시 말해 ‘저급화’되었다.”고 말하는 그는 “오원 대에 와서는 중국 원말 사대가의 그림을 그대로 흉내낸 것도 적지 않다.”고 지적한다.

이같은 배경 아래 이번 전시는 오원 이후 작가들의 그림을 통해 한국미술의 근대성을 조명한다.장승업 ‘송풍유수(松風流水)’,안중식 ‘성재수간(聲在樹間)’,조석진 ‘추산근수(秋山近水)’,이도영 ‘설강독조(雪江獨釣)’,윤용구 ‘소림모옥(疏林茅屋),이경승 ‘몽상등왕(夢上王)’,김은호 ‘달마도해(達磨渡海)’,노수현 ‘포대화상(布袋和尙)’등 모두 100점이 내걸린다.‘근대’라는 이름으로 이렇게 많은 작가들의 작품이 한자리에 모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6월1일까지.(02)762-0442.

김종면기자 jmkim@
2003-05-20 2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